20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 난강전시관에서 '컴 | |||||
---|---|---|---|---|---|
작성자 | (183.♡.113.206) | 작성일 | 25-05-20 17:33 | ||
20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 난강전시관에서 '컴퓨텍스 2025'가 개막했다. 1층에서 참관객들이 전시장에 들어가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사진= 김영호 기자)대만 최대 정보기술(IT) 박람회인 컴퓨텍스에 인공지능(AI) 열풍이 불었다. 20일 타이베이 난강전시관에서 개막한 컴퓨텍스는 첫날부터 AI 기술 트렌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려는 참관객이 전시장에 몰리며 인산인해를 이뤘다. AI에 대한 높은 관심과 AI 공급망에서 대만이 차지하는 위상이 엿보였다.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개막 축사에서 “AI 세계에서 대만이 중심이 되길 바란다”며 “대만의 반도체·통신·AI 산업 체인은 매우 완전하게 구축돼 있다”고 강조했다.올해 컴퓨텍스는 'AI 넥스트'를 주제로 전 세계 34개국 1400개 기업이 참가해 차세대 AI 기술을 알렸다. 엔비디아를 비롯해 인텔, 폭스콘, 에이수스, MSI 등과 국내에서는 SK하이닉스, 삼성디스플레이 등이 전시관을 마련해 미래 기술을 선보였다.20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 난강전시관에서 개막한 '컴퓨텍스 2025'에서 SK하이닉스 부스를 참관객이 하이닉스 HBM 제품이 적용된 엔비디아 블랙웰 GB200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김영호 기자)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부스를 차린 SK하이닉스는 최신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4(6세대)와 12단 HBM3E(5세대)를 엔비디아 블랙웰 GB200과 나란히 전시했다. HBM4는 지난 3월 미국에서 열린 엔비디아 주최 콘퍼런스 'GTC 2025'에서 처음 공개된 바 있다.엔비디아와 협력관계를 강조하는 모습이다. 전날에는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기조연설에 참석하며 돈독한 관계를 과시하기도 했다.인텔, 기가바이트의 협업을 통해 데이터센터용 서버에 들어가는 DDR5 메모리 제품과 AI PC용 메모리 모듈인 LPCAMM 등도 소개됐다.삼성디스플레이가 20일 대만 타이베이 난강전시관에서 개막한 '컴퓨텍스 2025'에서 1㎐에서 120㎐까지 주사율을 전환할 수 있는 저전력 기술 'UT 원'을 공개했다. 〈사진 삼성디스플레이 제공〉삼성디스플레이는 콘텐츠에 따라 주사율을 1㎐에서 120㎐까지 전환 가능한 IT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전면에 내세웠다. 업계에서 하이브리드 OLED라고 부르는 기술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유리기판 2장을 사용하는 기존 제품과 달리 아래는 유리기판, 위는 유·무기물 박막을 적용해 기존 제20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 난강전시관에서 '컴퓨텍스 2025'가 개막했다. 1층에서 참관객들이 전시장에 들어가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사진= 김영호 기자)대만 최대 정보기술(IT) 박람회인 컴퓨텍스에 인공지능(AI) 열풍이 불었다. 20일 타이베이 난강전시관에서 개막한 컴퓨텍스는 첫날부터 AI 기술 트렌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려는 참관객이 전시장에 몰리며 인산인해를 이뤘다. AI에 대한 높은 관심과 AI 공급망에서 대만이 차지하는 위상이 엿보였다.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개막 축사에서 “AI 세계에서 대만이 중심이 되길 바란다”며 “대만의 반도체·통신·AI 산업 체인은 매우 완전하게 구축돼 있다”고 강조했다.올해 컴퓨텍스는 'AI 넥스트'를 주제로 전 세계 34개국 1400개 기업이 참가해 차세대 AI 기술을 알렸다. 엔비디아를 비롯해 인텔, 폭스콘, 에이수스, MSI 등과 국내에서는 SK하이닉스, 삼성디스플레이 등이 전시관을 마련해 미래 기술을 선보였다.20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 난강전시관에서 개막한 '컴퓨텍스 2025'에서 SK하이닉스 부스를 참관객이 하이닉스 HBM 제품이 적용된 엔비디아 블랙웰 GB200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김영호 기자)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부스를 차린 SK하이닉스는 최신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4(6세대)와 12단 HBM3E(5세대)를 엔비디아 블랙웰 GB200과 나란히 전시했다. HBM4는 지난 3월 미국에서 열린 엔비디아 주최 콘퍼런스 'GTC 2025'에서 처음 공개된 바 있다.엔비디아와 협력관계를 강조하는 모습이다. 전날에는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기조연설에 참석하며 돈독한 관계를 과시하기도 했다.인텔, 기가바이트의 협업을 통해 데이터센터용 서버에 들어가는 DDR5 메모리 제품과 AI PC용 메모리 모듈인 LPCAMM 등도 소개됐다.삼성디스플레이가 20일 대만 타이베이 난강전시관에서 개막한 '컴퓨텍스 2025'에서 1㎐에서 120㎐까지 주사율을 전환할 수 있는 저전력 기술 'UT 원'을 공개했다. 〈사진 삼성디스플레이 제공〉삼성디스플레이는 콘텐츠에 따라 주사율을 1㎐에서 120㎐까지 전환 가능한 IT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전면에 내세웠다. 업계에서 하이브리드 OLED라고 부르는 기술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유리기판 2장을 사용하는 기존 제품과 달리 아래는 유리기판, 위는 유·무기물 박막을 적용해 기존 제품보다 30% 더 얇고, 30% 더 가벼워졌다.회사는 AI 기능을 사용하려면 많은 전력소모가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