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북구에 있는 함지산에서 28일 대형 산불이 발생해 소방당국이 ‘대응 3단계’를 발령하고 진화작업에 나섰다. 인명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인근 조야동, 노곡동, 서변동 주민 5600여명에게 대피령이 내려졌다. 산림청 등에 따르면 28일 오후 2시1분쯤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 내 입산통제구역에서 산불이 발생했다. 이날 오후 7시30분 기준 산불영향구역은 151㏊이다. 총화선 10.6㎞ 중 2㎞를 진화해 진화율은 19%였다. 이 시각까지 보고된 인명 피해는 없었다.산림청과 소방당국은 대응 최고 수준인 ‘산불 3단계’ 및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했다. 밤새 야간 진화가 가능한 수리온 헬기 2대와 차량 76대, 인력 766명을 투입해 산불의 민가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전을 펼쳤다.이날 산불은 순간 최대 초속 15m의 강풍을 타고 삽시간에 확산됐다. 산림청은 오후 3시10분쯤 산불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헬기 19대, 장비 38대, 인력 ...
흔히 헬스자전거라고 부르는 고정식 자전거는 트레드밀과 함께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산소운동 기구다. 헬스장에서도 흔히 볼 수 있지만 층간소음이 작은 장점 때문에 가정용으로도 많이 쓰인다.그런데 자세히 보면 두 가지 타입의 헬스자전거가 있다. 익숙한 보통 자전거처럼 서서 타는 형태를 ‘입식 자전거’라고 하고,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앉아 앞으로 다리를 내밀고 타는 방식을 ‘좌식 자전거(사진)’라고 한다. 이 둘의 차이는 뭘까?일단 입식 자전거는 보통의 자전거와 거의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자전거의 특성상 하체근육 위주로 쓰지만 허리와 코어 근육도 어느 정도는 쓴다. 이 형태는 페달을 세게 밟을 때 힘을 집중적으로 쓰다 보니 허벅지 앞쪽의 ‘대퇴사두근’이 주인공이다. 또한 코어를 이용해 체중을 좌우로 이동하면서 번갈아 페달을 밟을 수 있어 강한 파워로 역주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엉덩이를 들고 최대의 강도로 탈 수도 있다. 한편 가정용으로 쓸 때 좌식에 비해 저렴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