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변호사 충북 제천시와 경남의 하동군이 가을걷이가 끝나 텅 빈 논을 이색적인 스포츠 경기장으로 활용해 눈길을 끈다. 이들 지자체는 추수가 끝난 뒤 넓은 논을 운동장 삼아 축구장, 농구, 볼링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제천시는 오는 17~18일 ‘제1회 의림지 논두렁 체육대회’를 모산동 의림지뜰 일원에서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제천시 농민단체협의회가 개최하는 이번 대회는 의림지의 유구한 농경문화와 제천의 우수 농특산물을 전국에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 읍면동 대항으로 열렸던 시범 경기가 폭발적인 호응을 얻은 것이 계기가 됐다.
이번 대회는 벼 수확을 마친 의림지 뜰에서 펼쳐진다.
제천시는 참가자들의 안전을 위해 벼 그루터기가 남은 논을 한번 갈아엎고 그 위에 호밀 씨앗을 뿌렸다. 자라난 호밀이 잔디처럼 푹신한 쿠션 역할을 해 참가자들의 부상위험을 줄여준다는 게 제천시의 설명이다. 종목은 축구·손야구·농구·볼링 등 4개 종목이다.
대회의 백미는 ‘논두렁 축구’다. 참가자들은 축구화 대신 고무신을 신고 가로 20m, 세로 30m의 논바닥을 누빈다. 한 팀당 7명의 선수가 참가할 수 있다. 전후반 각각 15분씩 경기를 치르며, 동점일 경우 승부차기로 승자를 가릴 예정이다.
축구 우승팀에게는 상금 100만 원과 의림지쌀 10포대(20kg)가, 준우승팀에게는 상금 50만 원과 쌀 10포대가 수여된다.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이색 경기도 논두렁에서 펼쳐진다. 투수 없이 주먹으로 배구공을 쳐내는 ‘손야구’와 막걸릿병을 핀 삼아 축구공으로 쓰러뜨리는 ‘논두렁 볼링’, 자유투 실력을 뽐내는 ‘농구’ 등도 준비돼 있다.
행사장에는 푸드트럭을 배치해 어묵, 김밥 등 간단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제천의 명품 쌀과 잡곡 등을 판매하는 부스도 운영한다.
논두렁축구대회의 ‘원조’는 경남 하동군이다. 하동군은 2019년부터 평사리들판에서 ‘논두렁축구대회’를 열고 있다. 첫 대회 개최 이후 코로나19로 잠시 중단됐다가 2023년부터 다시 열리기 시작했다.
올해 대회는 다음 달 22일 열린다. 하동의 논두렁축구대회의 가장 큰 특징은 짚으로 엮어 만든 ‘짚풀공’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일반 축구공과 달리 어디로 튈지 예측이 어려워 선수와 관객 모두에게 큰 웃음과 재미를 선사한다. 경기는 초등·여성·남성·혼성 4개 리그로 나뉘어 남녀노소 누구나 선수로 참여할 수 있다.
제천시 관계자는 “지난해 읍면동 대항으로 열었던 대회가 좋은 반응을 얻어 전국 규모로 확대하게 됐다”며 “어르신들에게는 흙을 밟으며 뛰놀던 어린 시절의 향수를, 젊은 세대에게는 이색적인 재미를 선사하는 축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 전인 오는 27∼29일쯤 일본을 방문하는 일정을 양국 정부가 조율하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3일 보도했다.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미·일 정상회담은 28일 열릴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납북된 일본인 피해자 가족과 면담하는 일정도 조율하고 있다.
양국 정상회담에는 이시바 시게루 현 총리가 아니라 새 총리가 참석하게 된다. 4일 일본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새로운 총재가 선출되면 15일쯤 임시국회의 총리 지명 선거를 통해 새 총리가 취임하기 때문이다.
내각제인 일본에서는 집권 여당 대표가 바뀌면 국회에서 다시 총리를 뽑는 절차를 밟게 된다.
현재 일본 국회가 여소야대 상황이지만 자민당이 제1당인 데다 이념과 정책 차이가 큰 야당간 결집이 어려워 자민당의 신임 총재가 이시바 총리의 뒤를 잇게 될 것으로 보인다.
양국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미·일 동맹의 억제력 강화를 확인하고 중국에 대한 대응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고 신문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방일 일정을 마친 뒤 이달 31일부터 열리는 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한국 경주로 이동할 계획이다.
최근 개장한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에 반려견 놀이터가 조성돼 대전 5개구가 모두 반려동물 놀이터를 갖추게 됐다.
대전시는 서구 도안신도시 갑천생태호수공원에 반려견 놀이터인 ‘펫쉼터’가 완공됐다고 1일 밝혔다. 갑천생태호수공원 펫쉼터는 안전펜스와 급수대, 놀이시설 등이 갖춰져 반려인과 반려동물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도심 속 휴식 공간이다. 이곳은 운영 인력 확보와 관리 매뉴얼 정비 등을 거쳐 내년부터 정식 운영될 예정이다.
갑천생태호수공원 반려견 놀이터 조성으로 대전에는 5개구 전체에 한 곳씩 반려동물 놀이터가 확보됐다. 2019년 대덕구에 반려동물 놀이터가 처음 조성됐고, 2022년에는 유성구에 대전반려동물공원이 만들어졌다. 지난해 중구에 반려견 에너지파크가 문을 연 데 이어 올해 3월에는 동구에도 반려동물 놀이터가 조성됐다.
시 관계자는 “전국에서 모든 자치구에 1곳 이상의 반려동물 놀이터를 갖춘 곳은 대전이 유일하다”며 “반려인구 증가 흐름에 맞춰 균형 있는 인프라를 확충해 시민 편의를 증진하고 반려동물 친화도시로 나아가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에 따르면 대전의 반려동물 양육 가구는 약 20만 세대로 전체 가구수(약 65만 세대)의 30% 가량을 차지한다. 양육 가구가 늘어나는 추세에 따라 시에서는 반려동물 놀이터 추가 조성을 추진 중이다. 유성구와 대덕구에 1곳씩 추가 조성을 계획해 연내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