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거래수수료평생무료 올해 상반기 불황이 이어지면서 숙박과 음식점, 부동산업 창업 기업이 8%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8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창업기업 동향’에서 상반기 창업 기업 수가 57만4401개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62만2760개보다 7.8%(4만8359개) 줄어든 것이다. 상반기 창업 기업 수는 2021년 73만260개, 2022년 69만5891개, 2023년 65만504개, 지난해 62만2760개로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왔다.
올해 상반기 창업 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숙박·음식점업이 14.7% 감소했고, 부동산업(-12.8%), 도매·소매업(-8.1%) 등 순으로 줄었다. 전반적인 소비 위축과 외식 경기 침체, 건설 경기 부진 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금융·보험업은 21.9% 늘었으며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도 1.7% 증가하는 등 전문 지식 분야 업종에선 창업이 늘어났다. 금융업은 투자 자금 유입이 작용했고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은 온라인 유통 활성화와 디지털전환 확대 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창업은 전 연령대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감소했다. 다만 60세 이상 연령대의 창업 감소율은 3.7%로 30세 미만(-14.0%), 30대(-8.2%), 40대(-7.8%), 50대(-7.7%) 등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야외에서 태양광 패널 설치 공사를 하던 60대 노동자가 숨졌다.
27일 오후 4시43분쯤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의 한 양계장에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던 60대 노동자 A씨가 숨졌다.
A씨는 휴식 도중 쓰러져 심폐소생술(CPR)을 받으며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사망했다. A씨는 사흘 전부터 사고 현장에서 일을 해 왔다.
평택 청북 지역에는 오전 11시 폭염주의보가 발효됐다. A씨가 쓰러질 무렵에는 기온이 30도를 기록했다.
경찰은 부검을 통해 A씨가 온열 질환에 의한 사망 여부 등 정확한 사인을 확인할 방침이다.
신세계백화점은 강남점 지하 1층에 1200평 규모의 프리미엄 델리 전문관을 연다고 26일 밝혔다.
지난해 2월 ‘스위트 파크’와 6월 ‘하우스 오브 신세계’, 올해 2월 ‘신세계 마켓’에 이은 4번째 공간으로 지난 2년간 추진한 강남점 식품관 프로젝트가 마무리된 셈이다. 이에 따라 강남점 식품관 영업 면적은 6000평으로 국내 최대 규모가 됐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바로 옆 센트럴시티 파미에 스테이션을 합하면 1만평 규모의 대한민국 맛집을 총망라하는 미식 공간이 탄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사전 개장을 거쳐 오는 29일 정식으로 문을 여는 프리미엄 델리 전문관에서는 기존 간편식 위주의 델리 코너와 달리 아시안, 한식, 양식 등 식사를 고급 레스토랑 수준으로 즐길 수 있다. 대표적인 아시안 음식은 싱가포르식 레시피의 미쉐린 빕그루망 ‘윈디그리노스’를 비롯해 ‘남스 델리’(태국), ‘구오만두’(중국), ‘교토 오니마루’(일본), ‘블루 버터플라이’(베트남) 등이다.
한식 부문은 미쉐린 1스타 레스토랑 오너셰프인 김도연 셰프의 ‘서연’, 제주 숙성도의 덮밥브랜드 ‘화돈점정’이 자리한다. 또 슈퍼푸드, 저속 노화 등 트렌드를 반영해 제철 채소를 샐러드바처럼 구매할 수 있는 ‘베지 스튜디오’, 포케·샐러드 전문점 ‘와사비 그린’도 처음 선보인다.
유러피안 고급 식재료와 레시피들을 활용하는 ‘베키아에누보 가스트로’도 있다. ‘베통 키츠네트’ ‘고디바 크레페’ 역시 이번 프리미엄 델리 전문관에 1호 매장을 연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앞으로도 차별화된 콘텐츠와 서비스를 통해 오프라인 공간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쇼핑의 가치를 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