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유료강의 국내 거래소에서 10억원을 넘는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이들이 1만800여명이며, 평균 1인당 22억원 이상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5대 가상자산 거래소 이용자들은 1000만명을 돌파, 국내 인구 5분의 1에 달했다.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24일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 5일 기준 국내 5대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에 10억원을 초과한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이들은 1만810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이 가진 가상자산 가액은 1인당 평균 22억2889만원이었다. 5대 거래소 전체 이용자 1086만6371명의 1인당 평균 보유액인 1027만원의 200배 이상되는 금액이다.
고액 가상자산 보유자들은 지난해 하반기에 비해 소폭 늘어난 추세로 분석된다.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이 지난 5월 발표한 2024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에서 10억원 초과 보유자들은 1만200명으로 집계된 바 있다. 최근 가상자산 시장이 활황을 띠면서 고액 자산가들의 수가 소폭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10억원 초과 보유자를 연령별로 보면, 50대가 3994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3086명), 60대 이상(2426명), 30대(1167명) 등이 뒤를 이었다. 20대는 137명에 불과했으나, 1인당 평균 보유액은 26억8871만원으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40대와 50대는 각각 21억3956만원, 21억4395만원이었고, 30대는 23억6559만원, 60대는 23억9064만원이었다.
통계상 가상자산 보유액에는 거래소 예치금이 포함되지 않아 이들의 자산 규모는 실제로 더 클 가능성도 있다. 투자자들은 가상자산 거래소에 돈을 예치해놓기만 해도 연 2% 안팎 수준의 예치금 이용료를 예금 이자처럼 받을 수 있다.
이번 자료에서 집계된 5대 거래소 이용자는 총 1086만6371명(중복 포함)으로, 100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상자산이나 예치금 보유 여부와 관계 없이 지난 5일 기준 매매가 가능한 계좌를 보유한 이용자 수를 모두 합산한 것으로, 우리나라 인구(약 5169만명)의 5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들의 전체 보유액은 111조6503억7800만원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 보면, 3040 세대가 전체의 55%로 과반에 달했다. 60대 이상이 80만5358명으로 가장 적었다. 1인당 평균 보유액을 보면 20대가 206만원, 30대 632만원, 40대 1137만원, 50대 1768만원, 60대 이상 2340만원 등으로 나이대와 보유액이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여백의 미’를 무대 위에서 춤으로 구현하면 이런 모습일 것 같다. 담백한 흰색 단령을 입고 간결한 관모를 쓴 무용수들이 정연하게 대열을 만들어 의례의 시작을 알린다. 절제된 동작은 완만하지만 시선을 뗄 수 없는 긴장을 만들어낸다. 손끝과 소매가 선을 그려내고, 각자의 몸이 하나처럼 움직이는 대형의 변화는 무대 전체를 거대한 서예 작품으로 만든다. 이어 등장하는 ‘비비드’한 주홍색 철릭을 입은 무용수들의 몸짓에 따라 물결치는 옷자락은 반복적인 타악과 맞물려 울림을 만들어낸다.
‘종묘제례악’의 의식무인 ‘일무’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서울시무용단의 <일무>가 21일부터 나흘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무대에 오른다. 유명 디자이너 정구호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참여한 <일무>는 2022년 초연 이후 2023년 미국 뉴욕 링컨센터 공연 전회차 매진을 기록하며 화제를 모았다. 올해는 공연 한 달 전 전석 매진됐다. 최근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에서 한국팀 ‘범접’이 한국 문화를 소재로 만든 메가크루 작품이 화제를 모았지만, 그보다 앞서 ‘칼군무’로 주목받으며 전통의 현대적 해석을 잘 구현한 작품으로 꼽혀왔다.
일무는 ‘줄지어 주는 춤’이다. 종묘나 문묘 제향 때 열을 맞추어서 추는 문관의 춤 ‘전폐희문지무(문무)’와 무관의 춤 ‘정대업지무(무무)’로 구성되어 있다. <일무>는 1막 ‘일무연구’에 이어 궁중무용 ‘춘앵무’를 재해석한 2막 ‘궁중무연구’를 올린다. 절개와 충절을 상징하는 대나무를 춤으로 표현한 3막 ‘죽무’에 이어 전통 일무를 현대적 언어로 창작한 마지막 ‘신일무’가 새로운 전통을 제시하는 구성이다.
정구호는 여백, 절제, 스밈, 울림 등 우리가 한국적이라고 여기는 시각적 요소들을 무대 위에 탁월하게 구현했다. 미장센의 핵심은 ‘미니멀리즘’이다. 정 연출가는 21일 기자간담회에서 “가장 전통적인 춤인 일무를 기본적인 뿌리는 유지하면서 현대적인 언어로 진화시키는데 중점을 뒀다”면서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동작과 상징이 관객들의 기억에 남게 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한국무용은 몸짓이 옷의 움직임을 통해 보여지기 때문에 소매 길이를 훨씬 길게 만들고, 옷의 빛깔도 눈에 띄는 색으로 바꿨다고 한다. 1막 무대 디자인 역시 두 개의 ㄷ자 형태 조명으로 대단히 간결한데 종묘라는 틀을 시각화한 것이다.
그렇다고 심심한 무대는 아니다. 춘앵무의 무대인 화문석을 무대장치로 사용하는 화려한 연출에 이어 ‘신일무’에서는 음악, 무대, 의상이 태극처럼 한데 어우러진 역동적인 무대가 펼쳐진다. 나풀거리는 의상 사이로 은근하게 맨다리가 보이는 연출은 파격적이기까지 하다.
안무 역시 무대를 비웠다가 채우고, 흩어졌다 뭉치는 모습을 통해 ‘여백의 미’를 떠올리게 한다. 정혜진 안무가는 “전반의 절제된 상태에서도 질서를 찾고, 후반의 현란한 움직임 속에서도 질서를 찾아내 결국 전통춤이나 현대적인 춤이나 동작은 달라도 그 안의 철학은 같다는 것을 표현했다”며 “각자의 춤이 모여 하나의 마음을 만들고 희망을 향해 달려간다는 의도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일본 순방을 마친 이재명 대통령이 24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 도착했다. 전날 방일 일정을 마치고 도쿄 하네다 공항을 통해 출국한 이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는 이날 오후 앤드루스 공군기지를 통해 미국으로 입국, 2박 3일간의 방미 일정을 소화한다. 25일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다.
경향신문이 주최하고 스포츠경향이 주관하는 2025 경향 뮤지컬콩쿠르 본선이 열린 23일 서울 강동구 호원아트홀에서 초등부 김해나가 ‘위키드’의 Defying Gravity를 열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