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편집자 주
작성자  (183.♡.179.112)
편집자 주 '기후로운 경제생활'은 CBS가 국내 최초로 '기후'와 '경제'를 접목한 경제 유튜브 프로그램입니다. 한국의 대표 기후경제학자 서울대 환경대학원 홍종호 교수와 함께합니다. CBS 경제 전문 유튜브 채널 '경제연구실'에 매주 월/화/수 오후 9시 업로드됩니다. 아래 녹취는 일부 내용으로, 전체 내용은 '경제연구실' 채널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방송 : 유튜브 CBS 경제연구실 '기후로운 경제생활' ■ 진행 :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 대담 : 최서윤 CBS 경제부 기자 ◆ 홍종호> 다음 이슈 들어볼까요? ◇ 최서윤> 네. 먹는샘물 관리, 30년 만에 손질한다.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하나 여쭤볼게요. 교수님은 물 어떻게 드세요?◆ 홍종호> 저는 간이 정수기 씁니다. 브리타라고 하는 간이 정수기요. 여러 브랜드 중에 브리타가 제일 유명하잖아요. 저희 부부는 집에서 브리타로 물을 정수해서 마십니다.◇ 최서윤> 직수를 필터로 걸러서 드시는군요.◆ 홍종호> 네 아주 빨라요.◇ 최서윤> 저 같은 경우에는 먹는샘물 사 먹거든요. 1.5L에서 2L짜리 6개 묶음을 한 세트로 사면 보통 2주 정도 먹는 것 같아요. 다른 사람들은 물 어떻게 먹는지 궁금하잖아요. 환경부가 작년 12월에 한국 상하수도협회에 위탁해 전국의 약 7만 2,400가구를 대상으로 먹는 물 실태를 조사했습니다.가장 많은 비중인 53%가 정수기를 설치해서 먹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수돗물을 그냥 먹는 비중도 38%로 꽤 늘었어요. 여기에 수돗물을 끓여서 마시는 경우도 다 포함되고요. 저처럼 먹는샘물을 구매해서 먹는 비중도 35%로 나타났습니다. 참고로 이 조사는 중복 응답을 할 수 있었어요. 그래서 총합이 100%가 아니라 130.5%예요. 정수기를 이용하면서 먹는샘물을 사 먹는 사람도 많고 수돗물을 마시면서 먹는샘물 사 먹기도 하는 경우들이 많다고 합니다.◇ 최서윤> 환경부에서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이 지난달 22일 부처님 오신 날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부처님 오신 날인 5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리는 봉축법요식에 사회적 약자들이 다시 참여하게 됐다. 윤석열 정권 이후 중단됐던 오랜 관행이 되살아난 것이다.조계종은 2일 “이번 봉축법요식에 사회적 약자들을 초청했다”며 “부처님 오신 날의 의미를 함께 나누는 장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행사에는 제주항공 참사 유가족, 한국옵티컬하이테크 해고노동자, 전세사기 피해자 대책위원회,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발달장애인 가족 등이 함께한다.부처님 오신 날 봉축법요식은 부처님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축하의 뜻을 담아 행하는 불교의 중요한 의식이다. 조계종이 이 행사에 사회적 약자를 초청하는 건 오랜 관행이었다. 시작은 2012년이었다. 그해 출범한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의 제안에 따라 쌍용자동차 노조지부장과 용산참사 유가족 대표가 초청됐다. 이후 해마다 재난과 사고 등으로 고통받는 이들을 봉축법요식에 초청해 위로하는 자리가 이어졌다. 2015년엔 세월호 유가족 대표와 성소수자, 비정규직 노동자가 함께했고, 2017년엔 성소수자 대표, 이주노동자조합위원장,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대표, 콜트·콜텍 해고노동자 등이 초청받았다. 2022년에도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대표, 장애여성공감 대표, 평택항 사고 희생자 유가족 등이 초청됐다.하지만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이후, 10년 넘게 지속해온 이런 관행이 중단됐다. 2023년과 지난해 봉축법요식에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하면서 사회적 약자들은 초청 대상에서 빠졌다.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는 이태원 참사 유가족, 발달장애인과 가족, 세종호텔 해고자 등을 초청해달라고 종단에 거듭 요청했지만, 끝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들의 빈자리를 연령별 불자 대표들이 채웠다. 조계종은 당시 명확한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지만 정권에서 불편해하기 때문이란 관측이 나왔다. 조계종 관계자는 “용산 대통령실 쪽에서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을 초청하면 대통령이 행사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비친 것으로 안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57,515 개, 페이지 7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