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北 특수군, 한국 침투 능력…우크라전 참전 경험
작성자  (211.♡.145.106)
"北 특수군, 한국 침투 능력…우크라전 참전 경험 "北 특수군, 한국 침투 능력…우크라전 참전 경험도 반영될 것""중·러 협력 통해 미사일 물품 조달…언제든 핵실험 재개 태세"북한 김정은, 장거리포ㆍ미사일 훈련지도(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8일 장거리포ㆍ미사일 체계 합동타격훈련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일 보도했다. 2025.5.9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핵무기 고도화를 추구하며 러시아와 밀착 중인 북한이 최근 수십년 사이 '전략적으로 가장 유리한 위치'에 올라섰다는 미국 정보당국의 평가가 나와 주목된다. 24일 미국 연방의회에 따르면 미 국방정보국(DIA)은 최근 하원 군사위원회에 제출한 '2025년 세계 위협 평가' 보고서에서 "북한은 동북아시아의 미군과 동맹국을 위협하는 수단을 보유했고 미국 본토를 위협할 수 있는 능력을 계속 강화함에 따라 수십 년 사이 가장 전략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섰다"고 분석했다. DIA는 "조선인민군은 전통 무기와 생물학·화학무기, 핵무기로 적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장기간 영토를 방어할 능력을 갖췄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정통성과 정권 안보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됐던 북한 특수작전군에 대해서도 "훈련 수준이 높고 좋은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한국에 침투할 능력이 있다"면서 "북한은 특수작전군의 우크라이나 참전 경험을 향후 전투 훈련에 반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북한이 현역병 100만명 이상, 예비군 및 준 군사 인력 700만 이상을 보유한 군사 국가이지만 노후화한 재래식 군사력의 현대화는 늦어지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북한의 미사일 전력 및 대량살상무기(WMD) 개발은 진척되고 있다고 평가됐다. DIA는 "북한은 종종 중국·러시아와 협력을 통해 자국 내에서 생산할 수 없는 미사일 프로그램용 물품을 불법 조달하고 있다"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북한 미사일을 사용한 데서 보이듯, 북한이 미사일 시스템과 관련 기술을 타국에 판매하는 활동도 계속될 것이 확실하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북한은 핵실험장을 복구했고 언제든 7차 핵실험을 강행할 태세를 보인다"며 "생물학전 프로그램을"北 특수군, 한국 침투 능력…우크라전 참전 경험도 반영될 것""중·러 협력 통해 미사일 물품 조달…언제든 핵실험 재개 태세"북한 김정은, 장거리포ㆍ미사일 훈련지도(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8일 장거리포ㆍ미사일 체계 합동타격훈련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일 보도했다. 2025.5.9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nkphoto@yna.co.kr(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핵무기 고도화를 추구하며 러시아와 밀착 중인 북한이 최근 수십년 사이 '전략적으로 가장 유리한 위치'에 올라섰다는 미국 정보당국의 평가가 나와 주목된다. 24일 미국 연방의회에 따르면 미 국방정보국(DIA)은 최근 하원 군사위원회에 제출한 '2025년 세계 위협 평가' 보고서에서 "북한은 동북아시아의 미군과 동맹국을 위협하는 수단을 보유했고 미국 본토를 위협할 수 있는 능력을 계속 강화함에 따라 수십 년 사이 가장 전략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섰다"고 분석했다. DIA는 "조선인민군은 전통 무기와 생물학·화학무기, 핵무기로 적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장기간 영토를 방어할 능력을 갖췄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정통성과 정권 안보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됐던 북한 특수작전군에 대해서도 "훈련 수준이 높고 좋은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한국에 침투할 능력이 있다"면서 "북한은 특수작전군의 우크라이나 참전 경험을 향후 전투 훈련에 반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북한이 현역병 100만명 이상, 예비군 및 준 군사 인력 700만 이상을 보유한 군사 국가이지만 노후화한 재래식 군사력의 현대화는 늦어지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북한의 미사일 전력 및 대량살상무기(WMD) 개발은 진척되고 있다고 평가됐다. DIA는 "북한은 종종 중국·러시아와 협력을 통해 자국 내에서 생산할 수 없는 미사일 "北 특수군, 한국 침투 능력…우크라전 참전 경험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64,280 개, 페이지 6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