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경회루 특별관람이 시작된 8일 한 관람객이 경회루 2층 누각에 올라 사진을 찍고 있다. 이날부터 시작된 경회루 특별관람은 10월 말까지 예약제로 운영된다.
서울시가 강남구와 서초구 일대 26.69㎢ 규모의 자연녹지지역 토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했다.구룡마을 개발을 비롯한 공공주택지구 개발 추에 따른 부동산 투기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시는 지난 7일 제7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이번달 30일 만료되는 강남·서초 일대 자연녹지지역을 2026년 5월 30일까지 1년 더 연장·재지정한다고 8일 밝혔다. 대상구역은 강남·서초구 각각 5.35㎢,,21.34㎢ 면적이다.강남구 재지정 지역은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 등이 인접한 지역이다. 수서동, 개포동, 세곡동, 율현동, 자곡동, 일원동, 대치동 일대가 모두 토허구역으로 재지정됐다. 이 가운데 가장 인접한 개포동 일대가 1.21㎢ 로 가장 많이 지정됐다.서초구 재지정 지역은 서초 염곡 공공주택지구 및 방배동 성뒤마을, 서리풀 공공주택지구 등이 포함됐다. 양재동, 우면동, 방배동, 내곡동, 신원동, 염곡동, 원지동,...
산불 등 대형 화재 때 국가유산 피해를 막기 위한 방염포 설치 방법을 구체적으로 규정한 지침이 나왔다. 지난 3월 영남을 휩쓴 사상 최악의 산불이 발생한 지 약 한 달여만이나, 현장에서 활용하려면 여전히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산불로 인한 국가유산 피해는 36건으로 집계됐으며, 복구비로 500억원 가까이 소요될 것이라고 국가유산청은 밝혔다.국가유산청에 지난달 29일 ‘산불 등 화재 시 국가유산 방염재 기준 및 설치 지침’ 제정안을 행정예고했다고 8일 밝혔다. 방염재는 일정 넓이 이상으로 불이 번지지 않도록 화학적으로 처리한 천(방염포) 등을 뜻한다. 이번 지침은 재난 대응 현장에서 마땅히 갖춰야 할 기준이 없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지난 3월 말 영남을 휩쓴 동시다발적 산불로 국가유산이 큰 피해를 입었으나, 방염재 관련 지침이나 매뉴얼은 미비했다. 그나마 존재하는 매뉴얼도 대응 단계에 따라 얼마나,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는 나와 있지 않아 비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