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출이 3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부과’로 4월 대미 수출은 7% 가까이 감소해 올해 전체 수출 실적 전망을 어둡게 했다.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4월 수출입 동향’을 보면 지난달 수출액은 582억1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 증가했다. 4월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수출은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월 일시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10.1%)을 기록했지만, 2월부터 반등해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4월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2.7% 감소한 533억2000만달러였고, 무역수지는 48억8000만달러 흑자였다. 월간 무역수지는 올해 1월 적자로 돌아선 뒤 2월부터는 3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4월 수출 성장을 견인한 품목은 반도체였다. 반도체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 메모리 수출 호조세 등에 힘입어 지난해 동기 대비 17....
최근 제주에서 고온에 강한 마늘·양파 품종 개발, 이상기후로 달라진 감귤 병해충 발생 시기 연구에 돌입했다. 기후변화로 제주 농업의 피해가 현실화된데 따른 것이다.제주도농업기술원은 올해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제주의 주요 밭작물 중 하나인 마늘과 양파에 대한 ‘생육 데이터 수집 및 생육 관리 기술 개발’ 연구를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도농기원의 분석 결과 제주지역 평균 기온은 1980년대 15.4℃에서 최근 16.8℃로 상승했다. 특히 월동채소류의 주요 생육 시기와 겹치는 3월(+2.6℃)과 2월(+2.2℃), 11월(+1.8℃)의 기온 상승 폭이 커 고온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특히 지난해 제주에서는 이상기후로 인해 마늘쪽이 갈라지는 벌마늘 피해가 대량 발생했다. 피해면적은 전체 1088ha 중 절반에 가까운 47%에 달했다. 양파 역시 두 개 이상으로 나눠지는 분구, 줄기 가운데 꽃대가 올라오는 추대 현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