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인권이사회(UNHCR)가 러시아 파병을 포함한 북한의 인권 침해를 규탄하고 개선을 촉구하는 내용의 인권 결의를 채택했다.인권이사회는 3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유엔 사무소에서 열린 제58차 인권이사회에서 한국을 포함한 54개국이 공동 제안국으로 참여한 북한 인권 결의안을 표결 없이 합의(컨센서스)로 채택했다.북한 인권 결의는 2003년 유엔 인권이사회의 전신인 인권위원회를 시작으로 올해까지 23년 연속으로 채택됐다. 2016년부터는 10년 연속 컨센서스가 이뤄졌다.이번 결의에는 북한군 러시아 파병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반영해 “민간인 고통과 인권 침해를 심화하고 국제 안보를 불안정하게 하는 지역에서 북한이 치명적이고 과도한 무력 사용을 삼갈 것을 촉구한다”는 내용이 새롭게 포함됐다.아울러 북한의 강제노동이 반인도 범죄인 ‘노예화’에 해당할 가능성을 지적하는 문구가 추가됐다.또 “북한에 자의적으로 구금된 사람들을 즉각 석방하라”는 내용이 추가돼 한국인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상호관세에 반발하는 무역 상대국들을 향해 “보복에 나서지 말라”며 경고에 나섰다.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2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모든 국가에 보내는 충고는 보복에 나서지 말라는 것”이라며 “순순히 받아들인 뒤 어떻게 상황이 전개되는지 지켜보라”고 말했다.베선트 장관은 “만약 보복 조치를 한다면 상황은 더 악화할 것이지만, 보복 조치가 없다면 더 이상 올라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이는 무역 상대국이 보복관세 등 대응조치를 취할 경우 기존에 발표한 상호관세 외에 추가로 부담을 지울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실제로 백악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상호관세에 대응하는 국가에 대해선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로 관세율을 높일 권한이 있다고 발표했다.베선트 장관은 이날 34%의 상호관세가 발표된 중국의 대응에 대한 예측을 묻는 말에는 “그들이 어떻게 할지 지켜보자”고 말했다.베선트 장관은 상호관세의 취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