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도난당했던 불화 ‘예천 보문사 신중도’가 미국에서 국내로 돌아왔다.대한불교조계종은 23일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보문사 신중도의 환수 고불식(告佛式)을 열었다.보문사 신중도는 1767년 혜잠 스님이 그린 불화다. 신중도는 불교의 여러 신을 그린 불화를 뜻한다. 좌우에 제석천과 위태천을 크게 그려, 다른 신중도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구성을 높이 평가받았다. 신중도는 경북 예천군 보문사에 보관됐다가 1989년 6월5일 아미타불회도, 삼장보살도 등과 함께 도난당했다. 아미타불회도와 삼장보살도는 2014년 국내에 환수됐으나 신중도의 행방은 알려지지 않았다.2023년 6월 국가유산청과 국외소재문화재단은 미국에 있는 한국문화유산 현황을 확인하던 중 시카고대 스마트미술관에서 신중도를 소장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후 조계종은 총무원장 명의로 2023년 8월과 12월 스마트미술관에 신중도 반환을 요청했고, 협의 끝에 지난...
아침마다 나는 500억개의 유산균이 든 요거트를 먹는다. 달고 맛도 좋다. 창밖으로 봄이 성큼 지나간다. 매화꽃이 피었나 싶더니 어느새 손톱만 한 열매가 초록 잎 뒤로 숨는다. 아마 살구와 앵두 열매도 모습을 드러냈을 것이다. 어린 과일이 여기저기서 열리고 땅으로는 봄나물이 빈 곳을 채우며 무성하지만, 슬쩍 데친 두릅나무 순처럼 과일과 나물의 봄맛은 쌉싸름할 뿐이다.우리는 다섯 가지 정도로 세상의 맛을 느낀다. 단맛, 쓴맛, 짠맛, 신맛 그리고 감칠맛이다. 최근에는 지방 맛을 감지하는 또 다른 미각 수용기가 알려지기도 했다. 미각을 담당하는 수용기는 대개 혀에 분포한다. 음식물을 담고 줄곧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소화기관은 항문을 맨 뒤에 포진하고 맛은 물론 보고 듣고 냄새를 맡는 온갖 감각기관을 전면에 배치한 채 먹거리를 찾아 여기저기 두리번거린다. 하지만 파리는 입은 물론 다리에도 맛을 느끼는 수용체를 갖고 있다. 목표물에 착지하자마자 먹을 것인지 아닌지 바로 판단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