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법률사무소 프로농구 부산 KCC의 스타 가드 허훈이 종아리 부상으로 시즌 개막전에 결장한다. 복귀까지 최소 2주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민 KCC 감독은 3일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리는 2025~2026시즌 개막전 서울 삼성전을 앞두고 허훈이 앞으로 2주 정도 더 결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허훈은 비시즌 연습 경기 중 종아리를 다쳐 지난달 20~28일 시범경기에 한 차례도 나서지 못했다. 정밀 검진 결과와 의료진 권고에 따라 현재 팀 훈련에도 합류하지 못하고 있다.
가장 빠르게 복귀하더라도 11일 울산 현대모비스전이나 13일 서울 SK전부터 출전이 가능하다. 이 감독은 이번 주말 2연전 이후 일주일의 여유가 있는 만큼 허훈의 상황을 더 지켜본 뒤 복귀 시점을 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허훈의 공백은 KCC에 적잖은 부담이다. 같은 포지션인 이호현도 발목 부상으로 결장 중이어서 가드진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당분간 KCC는 최진광 등으로 로테이션을 꾸려야 한다.
2017년 프로 데뷔 이후 수원 KT에서 리그를 대표하는 스타로 성장한 허훈은 이번 시즌을 앞두고 자유계약선수 자격을 얻어 친형 허웅이 뛰는 KCC로 전격 이적했다. 지난 시즌 9위로 추락한 KCC가 코치 출신 이상민 신임 감독과 허훈을 앞세워 재도약을 꿈꾸던 차였다.
2023~2024시즌 챔피언 KCC는 지난 시즌 9위로 급락하며 체면을 구겼다. 허훈의 조기 복귀 여부가 시즌 초반 분위기를 좌우할 전망이다.
산재 사망자 10명 중 4명 이상이 하청업체 노동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청 노동자 사망비중은 해마다 높아지는 추세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9일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2022년~2025년 2분기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현황’에 따르면 이 기간 산재 사망자는 모두 2118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하청노동자는 44.9%인 952명이다.
산재 사망자는 2022년 644명, 2023년 598명, 2024년 589명, 올 2분기 287명으로 감소추세이다. 반면 산재 사망자 중 하청 노동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높아지고 있다. 2022년 44.1%인 284명, 2023년 43.5%인 260명에서 지난해는 47.7%인 281명으로 늘었다. 올 2분기도 44.3%인 127명이다.
업종별로는 사망한 952명의 하청노동자 중 건설업이 62.5%인 595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제조업이 22.7%인 216명, 운수·창고·통신·전기·가스 등이 1.8%인 17명이다.
건설부문 하청 노동자 산재사망 건수는 2022년 53%(181명)에서 2023년 57%(173명), 2024년 59%(164명)으로 증가했다. 사고 유형별로는 ‘떨어짐’이 42.1%(401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물체에 맞음’ 12.7%(121명), ‘부딪힘’ 9.9%(94명), ‘화재·폭발·파열’ 7.6%(72명), ‘끼임’ 7.1%(68명), ‘깔림·뒤집힘’ 6.1%(58명) 등 안전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김 의원은 “안전 비용과 위험을 그대로 하청에 전가하는 위험의 외주화가 되풀이되면서 하청노동자가 죽음으로 내몰리고 있다”며 “정부의 안전대책이 현장에서 잘 작동되는지 살피고, 책임 떠넘기는 하청 구조를 바로잡을 수 있는 실효성 있는 개선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