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육아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 가정에 홈헬퍼(장애인 가정 돌보미)를 지원한다고 7일 밝혔다.홈헬퍼는 장애인이 임신, 출산을 하거나 자녀 양육이 필요할 경우 각 가정에 파견되는 육아 돌보미다. 임신·출산 또는 만 9세 미만 자녀를 양육하는 서울시 등록 장애인 가정 가운데 중위소득 120% 이하 가정이라면 무료로 지원한다. 부부 모두 장애인이면서 한 명 이상이 중증장애인인 가정이라면 만 12세 미만 자녀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지난 5년간 총 695가구가 홈헬퍼의 도움을 받았으며, 서울시는 올해 130가구를 지원할 예정이다.임신한 여성 장애인에 대해서는 출산 2개월 전부터 태아 및 산모의 건강관리를 지원하고, 출산준비와 산후조리를 보조한다. 산모의 정서적 안정을 위해 말벗 역할도 한다.자녀 양육 및 관련 가사활동도 지원한다. 만 9세 미만 아동을 대상으로 병원동행 등 외출업무를 돕고, 학습·독서지도 및 놀이도 지원한다. 만 2세 미만 영아를 대상...
전북 부안군 고압(345㎸)송전철탑 반대 대책위원회(대책위)는 8일 부정 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한국해상풍력과 서남권 해상풍력 민관협의회 위원 4명을 전주지검에 고발한다고 밝혔다.대책위는 중립을 지켜야 할 민관협의회 위원들이 사측인 한국해상풍력이 제공한 대가성 해외출장을 다녀왔다는 의혹을 제기 중이다.대책위는 “송전선로 설치에 필요한 ‘공동접속설비(양육점)’의 부안군 설치 선정 후 위원 4명이 해상풍력단지 연수를 명목으로 대가성이 의심되는 1인당 994만원짜리 해외여행(8박10일 프랑스·벨기에 방문)을 했다”고 주장했다. 일정 대부분이 해상풍력과 무관한 관광지로 짜였다는 게 대책위 주장이다.대책위는 “위원들은 해상풍력 송전선 건립과 양육점 등에 관한 심의에도 참여했다”며 “법령에 따라 공무상 심의·평가 등을 하는 개인(공무수행 사인)으로 분류되므로 금품 등 수수에 해당한다”고 덧붙였다.김상곤 대책위원장은 “서남권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