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세 협상이 잘 되고 있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 23일 “대화의 문은 열려 있다”면서 “위협과 협박을 중단하고 중국을 평등하게 대해야 한다”는 종전 입장을 강조했다.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협상 관련 발언에 대한 질문에 “중국 측은 오래 전부터 관세전쟁과 무역전쟁에서는 승자가 없고, 보호주의에는 출구가 없으며 디커플링과 공급망 단절은 스스로를 고립시킬 뿐이라고 지적해 왔다”고 말했다.궈 대변인은 “미국이 시작한 관세전쟁에 중국의 입장은 매우 명확하다”면서 “우리는 싸우기를 원하지 않으지만 싸움을 두려워하지도 않는다. 싸운다면 끝까지 맞서 싸울 것(奉陪到底)“이라고 말했다.궈 대변인은 “미국이 진정으로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위협과 협박을 중단하고 평등과 존중, 호혜의 기초 위에서 중국과 대화해야 한다...
‘뒤끝’ 보인 이스라엘…추모 글 SNS 게시 후 삭제‘전쟁을 멈추고 굶주린 자들을 도우라’는 마지막 부활절 메시지를 남기고 세상을 떠난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종 전 작성한 언론 기고문에서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분쟁을 끝낼 것을 호소하며 ‘두 국가 해법’에 대한 지지를 거듭 피력했다. 22일(현지시간) 영국 잡지 팔러먼트에 실린 기고문 ‘팔레스타인·이스라엘의 유혈 사태는 끝나야 한다’에서 교황은 “평화엔 전쟁보다 더 큰 용기가 필요하다”며 분쟁 종식을 역설했다.교황은 기독교인과 유대교인, 무슬림 모두에게 신성한 땅인 예루살렘 성지가 “잔혹한 전쟁의 현장”이 된 것을 안타까워하며 “폭력과 보복의 악순환”을 끊어낼 것을 촉구했다. 교황은 “또 다른 인도주의적 재앙에 직면해 예루살렘과 중동 전체의 평화를 다시 한번 간절하게 호소한다”면서, 평화를 호소하는 것조차 때로는 “적에 대한 관대함”으로 해석되는 데 대해 안타까움을 표했다.교황은 “허상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