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Դϴ�. 장애인차별철폐의날인 20일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 등이 ‘1박2일’ 집회에 나섰다. 이들은 장애인의 이동권과 선거권 등 장애인이 시민으로서 제대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개선하라고 촉구했다.전장연 등이 참여한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혜화역 마로니에 공원에서 ‘4·20장애인차별철폐의날 전국 집중 결의대회’를 열고 “장애인 권리가 보장되는 사회를 염원한다”고 밝혔다. 결의대회에는 장애인 등 1500여명(주최 측 추산)이 참석했다.장애인차별철폐의 날은 장애 시민들이 ‘시혜와 동정의 시선’이 담긴 ‘장애인의날’을 거부하고 2002년 선포한 기념일이다. 한국 사회 속 구조적·지속적 장애인 차별 혁파, 이동·교육·노동 등 장애인의 시민으로서 권리와 역할 확보, 시설 아닌 지역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민주주의 실현 등을 목적으로 한다.먼저 이들은 “장애인이 시민으로서 권리를 행사하려면 무엇보다 남에게 목숨을 위탁하는 지금의 장애인...
국가인권위원회가 정신의료기관 내 격리·강박과 관련한 법적 근거 및 기준 등을 개선할 것을 보건복지부에 권고했다.인권위 장애인차별시정위원회(소위원장 남규선 상임위원)는 22일 정신의료기관 20개를 대상으로 입원환자 격리·강박 관련해 방문조사를 한 결과 이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인권위는 구체적으로 정신의료기관 내 격리·강박 지침 법령화, 격리·강박 수행 보호사의 법적 근거 마련, 격리·강박 상황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 비강압 치료의 제도화 등을 권고했다.앞서 인권위는 정신의료기관에서 환자 격리·강박 중 사망사건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자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까지 20개 정신의료기관을 방문해 89명의 환자 등을 면담 조사했다. 사망사건 발생 병원, 격리·강박 관련 우수제도 운용 병원, 인권위에 반복해 진정이 제기된 병원 등이 조사대상이 됐다.조사 결과 절반 가까이의 병원에서 현행 법과 복지부 지침을 어긴 정황이 밝혀졌다. 정신건강복지법은 ‘격리·강박 시 정신건...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간) 선종하면서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를 거쳐 선출될 차기 교황 유력 후보가 거론되고 있다. 차기 교황은 가톨릭 전파와 인류의 평화를 위해 덕망을 쌓으며 동료들로부터 높은 지지를 얻는 추기경이 선출된다.‘바티칸의 2인자’ 국무원장은 매번 차기 교황 후보로 거론돼왔다. 이탈리아 출신 피에트로 파롤린 현 국무원장(70) 역시 유력 교황 후보다. 30년간 교황청 외교부에서 일한 그는 2015년 미국과 쿠바의 관계 개선, 2018년 중국이 교황을 가톨릭 최고 지도자로 인정한 바티칸·중국 협정을 끌어낸 핵심 인물로 평가받는다. 온건파로 분류되는 파롤린 추기경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정책을 계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매체 스펙테이터는 “파롤린 추기경은 11년간 이어진 프란치스코 교황의 주기적인 잔혹한 개각 속에서도 살아남았다”고 평가했다.가톨릭 매체들은 필리핀 출신의 루이스 타글레 추기경(68)도 유력한 교황 후보로 꼽았다. 타글레 추기경이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