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Ѱ��Ͽ����ϱ�? 제주4·3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최종 등재 결정을 앞두고 프랑스 파리에서 제주4·3사건을 알리는 특별전이 열린다.제주도와 행정안전부가 공동 주최하고 국가유산청이 후원하는 이번 전시는 9일부터 15일까지 ‘진실과 화해에 관한 기록’을 주제로 파리국제대학촌 한국관에서 열린다.전시 일정은 지난 2일부터 오는 17일까지 열리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 기간에 맞췄다. 전시 장소인 파리국제대학촌 한국관은 2023년 한강 작가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 프랑스어판 출간 기념행사가 열린 뜻깊은 곳이기도 하다.이번 전시는 2023년 11월 유네스코에 제출한 1만4673건의 기록물 중 핵심 사료를 추려 선보이는 자리다. 기록물 복제본과 함께 4·3의 발단부터 진실규명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명한 다큐멘터리도 상영된다. 전시장 입구는 4·3 당시 주민들이 토벌대를 피해 숨어 생활했던 다랑쉬굴을 재현했다.전시의 마지막 공간은 제주4·3을 상징하는 동백나무 대형 조...
형제복지원 사건과 관련해 국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의 책임도 인정해야 한다는 판단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나왔다. 그간 법원은 판결을 통해 국가의 책임을 인정해왔으나 지자체에도 책임이 있다는 판결이 나온 사실이 알려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민사19-1부(재판장 황승태)는 지난 2일 형제복지원 피해자와 유족 12명이 대한민국과 부산시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했다. 법원은 1심과 동일하게 국가와 부산시의 손해배상 책임을 모두 인정했다.형제복지원 사건은 1975~1987년 부랑자를 선도한다며 내무부(현 행정안전부) 훈령에 따라 일반 시민과 어린이를 불법 납치·감금해 인권을 유린한 사건이다. 부산시는 부산시재생원설치조례에 근거해 1975년 7월 부산 사상구 주례동의 ‘부랑인 수용시설’ 형제복지원 측과 위탁계약 맺었다. 1986년 12월까지 계약이 이어졌다. 부산시는 이와 관련된 사무에 필요한 경비도 지출했다. 피...
울산 중부경찰서는 자신이 예전에 근무했던 구청 건물 인근 화단에 불을 낸 혐의(방화)로 40대 A씨를 입건해 조사 중이라고 10일 밝혔다.A씨는 이날 오전 3시40분쯤 울산 중구청사 바로 옆 화단 두 곳에 인화물질을 뿌린 후 불을 지른 혐의를 받는다. 그는 불을 낸 직후 자신이 몰고 온 차를 타고 그대로 도주했다.불은 당직 근무 중이던 공무원들에 의해 진화됐다.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경찰은 현장 인근 폐쇄회로(CC)TV를 통해 추적한 끝에 A씨를 주거지에서 체포했다. A씨는 수년 전 중구청에서 근무한 적이 있으며, 현재는 공무원이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경찰은 A씨를 상대로 정확한 범행 동기 등을 조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