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법률사무소 정부가 18일 발표한 12조원 가량의 추가경정예산(추경)에는 민생 지원 예산 4조3000억원이 포함되어 있다. 추경안이 통과되면 소상공인 300여만명은 공과금 납부에 사용할 수 있는 50만원의 포인트(크레딧)을 받는다. 일반 소비자가 소상공인 매장에서 카드 소비를 늘리면 온누리상품권으로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게 된다. 공공배달앱에서 3번 주문하면 만원 할인해주는 정책도 담겼다. 소상공인을 지원하겠다는 취지이나 일회성 대책 위주여서 얼어붙은 소비를 살리기에 충분할지는 미지수다.정부는 우선 소상공인의 비용 부담을 줄이는 데 2조6000억원을 쓴다. 연매출 3억원 이하 소상공인에 공과금과 보험료 납입 등에 쓸 수 있는 최대 50만원의 납부 포인트(크레딧)을 제공한다. 지원액은 소상공인 1인당 월평균 영업비용(109만원)의 절반 수준으로 산정했다. 대상 소상공인이 311만명에 이를 것으로 기재부는 추정했다.금융지원도 확대한다. 소상공인시장진흥기금 융자 및 지역신보 보증 2조5...
현대모비스가 전기차 배터리셀에 불이 나면 소화 약제를 자동 분사해 화재를 즉시 진압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내열 소재를 활용해 인접한 셀로 열과 화염이 전이되는 현상인 ‘열 폭주’를 지연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사전에 원천 차단하도록 배터리시스템(BSA)을 설계했다는 설명이다.현대모비스가 개발한 BSA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소화장치, 배터리 케이스 등 하드웨어와 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로직으로 구성된다.BMS는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터리의 온도와 전압, 내부 압력을 분석해 이상징후를 판단한다. 발화 시 약제를 분사할 위치를 정해 소화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도 BMS의 역할이다. 이를 위해 일반 가정용 소화기 용량 3.3㎏의 5배에 달하는 소화 약제를 BSA 내부에 넣었다.소프트웨어 로직은 다중 안전장치와 이중화된 알고리즘 구조를 적용해 BSA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변화에 빠르고 정확한 판단과 대처를 할 수 있...
정부가 한·미 통상 협상에서 주요 의제로 떠오른 미국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를 대미 관세 협상에 적극 이용할 뜻을 피력하고 나섰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협상용 카드로 내민 해당 프로젝트는 실효성 논란이 제기된 만큼 섣불리 참여를 결정해선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15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열린 한국산업연합포럼 초청 강연에서 “현재 한·미 양국 간 (알래스카 LNG 사업 관련) 실무협상이 진행 중이며 이를 위해 곧 알래스카 출장을 갈 계획”이라고 밝혔다.이 자리에서 최 차관은 정부가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를 자동차 관세 협상 카드로 보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최 차관은 “일본과 한국 모두에 가장 큰 수출품 중 하나가 자동차이기 때문에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가 한국의 대미 관세 협상 패키지의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은 한다”며 “자동차가 (관세 협상에서)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