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Ͽ����ϴ�. 서울 중구가 전통시장 내 화재 대응력 강화를 위해 오는 6월까지 19개 시장 30개소에 ‘지하매립식 비상소화장치함’(지하소화장치)을 설치한다고 8일 밝혔다.지하소화장치는 현장 대응이 늦어지기 쉬운 전통시장 구조를 고려한 맞춤형 재난 대응 장치다. 평소에는 땅속에 매립돼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지만, 위급 상황 시 손쉽게 개방해 소방호스와 방화 도구를 즉시 사용할 수 있다.중구는 전통시장이 밀집한 지역이다. 서울시 지자체 중 시장이 가장 많다. 전통시장과 골목형상점가, 지하도 상점가 등 총 49개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서울 전체 시장의 15%에 해당하는 규모다.중구 관계자는 “노후화된 전통시장은 화재 취약지대일 수밖에 없다. 좁은 골목과 밀집한 점포 구조로 소방차 접근이 어렵고 대형화재로 확산할 우려가 있다”며 “이에 구는 공간 효율성이 뛰어나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지하소화장치를 대안으로 찾았다”고 설명했다.중구는 본격적인 사업 착수를 앞두고...
내년 2월부터 산불 실화자에 대한 과태료가 최대 5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인상된다.산림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산림재난방지법’이 최근 제정, 공포됐다고 10일 밝혔다.지난해 12월 국회를 통과한 이 법안은 지난 1월 21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쳤다. 시행 시점은 법안 공포 후 1년이 지난 내년 2월 1일이다.산림재난방지법에 따르면 산림과 산림 인접지(100m 이내)에서 불을 내면 과태료가 현행 최대 5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오른다. 산불로 인한 피해는 크지만 실화자 과태료가 너무 적다는 지적을 반영한 것이다.산림재난방지법에는 산림재난 관리 범위를 산림 인접 지역까지 확대하고, 산림청장도 산림재난 발생 시 주민 대피 명령을 자치단체에 요청할 수 있다는 내용도 담겼다.주민 대피 명령은 지방자치단체장과 소방서장만 할 수 있다.법안에는 산림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한국산림재난안전기술공단’을 설립하는 내용도 포함됐다.한국산림재난안전기술공단은 개별적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지역에서 러시아군 일원으로 싸우던 중국인 2명을 생포했다고 공개한 뒤 미국이 “중국은 러시아를 지원하는 주요 세력”이라며 “매우 우려스렵다”는 입장을 내놨다.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엑스에 중국인 포로 중 한명의 영상을 공유하며 “이들의 소지품에서 신분증, 은행카드, 개인 정보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 두 명 외에도 러시아 점령군 부대에 더 많은 중국인이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며 “우크라이나 외무부 장관에게 즉시 중국 정부와 접촉해 중국의 입장을 확인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이에 대해 태미 브루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중국 군인들이 포로로 잡힌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8일 브리핑에서 밝혔다. 브루스 대변인은 “중국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를 지원하는 주요 세력”이라며 “중국이 러시아가 전쟁을 지속하는데 필요한 이중용도(dual-use) 물자의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