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1일로 영남 지역을 초토화한 동시다발 산불이 발생한 지 한 달이 된다. 산림청은 18일 지난달 영남지역 대형산불의 전체 피해면적이 10만4000ha로 잠정 파악됐다고 발표했다. 이 가운데 의성 등 경북 5개 시군에서 발생한 산불의 피해면적만 9만9289ha에 이른다. 시군별로는 의성이 2만8853ha로 가장 많은 산림 피해를 보았고, 안동 2만 6709ha, 청송 1만 665ha, 영덕 1만 6208ha, 영양 6864ha로 집계됐다.20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에 들어서자 매캐한 냄새가 제일 먼저 코끝에 닿았다. 탄내는 한 달이 넘도록 의성에 내려앉아 있었다. 구례1리에서 만난 임종섭씨(68)는 “언론에서 쑥대밭이라고 표현하는데 그건 틀린 표현이다”라며 “쑥대밭을 넘어선 대재앙이었다”고 말했다. 하늘에서 불 비가 내리는데 피할 곳이 없었다는 말도 덧붙였다. 앞산이 아래쪽 밭부터 산 정상까지 하나의 큰 불덩어리였다고 했다. 길을 너머 마당 안까지 열기가 닿아 숨...
대통령경호처가 경찰의 압수수색을 군사상·공무상 이유로 거부하면서 “필요한 자료는 임의제출하겠다”고 했지만 닷새가 지나도록 아무것도 제출하지 않았다.12·3 불법계엄 사태를 수사하는 경찰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21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경호처의 자료 임의제출에 대해 “아직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임의제출 대상과 시기가 정해졌는지에 대해 경찰 관계자는 “현재까지 협의 중이라는 것 외에 상세하게 얘기할 수 있는 것은 없다”고 했다.경찰은 지난 16일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성훈 경호처 차장의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를 수사하기 위해 대통령실과 경호처에 대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하지만 경호처가 막아섰고, 10시간 가까이 대치한 끝에 대통령실은 정진석 비서실장, 경호처는 김 차장 명의로 불승낙 사유서를 제출하며 압수수색이 무산됐다. 형사소송법 110·111조는 군사상·공무상 비밀에 관한 압수수색은 책임자의 승낙이 필요하다고 규정한다.경호처는 “경찰의 압수수색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