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이 지난해 혼인율 1위 도시로 올라섰다. 혼인 건수가 전년보다 50% 이상 증가하면서다. 대전시는 지난해 처음 도입한 결혼장려금 등 결혼·주거·일자리를 연계한 청년 정책의 성과라는 분석을 내놓는다.17일 통계청의 ‘2024년 혼인·이혼 통계’를 보면 지난해 대전지역 혼인 건수는 모두 7986건으로 전년(5212건)보다 53.2% 증가했다. 지난해 전국 평균 혼인 건수 증가율은 14.8%였다. 대전의 혼인 건수 증가율은 이를 크게 상회해 전국 17개 시도 중 1위를 기록했다.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나타내는 조혼인율을 봐도 대전의 혼인 증가세는 눈에 띈다. 2023년 3.6건이던 대전의 조혼인율은 지난해 5.6건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전국 조혼인율은 3.8건에서 4.4건으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17개 시도 전체로 보면 2023년 세종(4.4건), 경기(4.0건), 서울·인천·울산·충북·충남·제주(3.9건)에 이어 9위에 머물렀던 대전의 조혼인율은 지난해 세...
현직 교사들이 조직적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관련 문제를 만들어 사교육 업체 등에 판매하다 적발돼 무더기로 검찰에 넘겨졌다. 2023학년도 수능에서 제기된 ‘영어문항 유출 의혹’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이 ‘교차검증’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으로 결론이 났다.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중대범죄수사과는 2023년 7월 교육부의 수사의뢰를 시작으로 이른바 ‘사교육 카르텔’을 수사한 결과 교사 및 사교육 업체 대표·강사 등 100명을 청탁금지법위반과 업무방해 등의 혐의로 검찰에 넘겼다고 17일 밝혔다.송치된 100명 중 현직 교사는 72명, 사교육업체 법인 3곳, 강사 11명, 학원 대표 등 직원 9명, 평가원 직원·교수 등 5명이다. 이 중에는 대형 사교육업체와 소속 강사들도 포함됐다송치된 교사들은 1개 문항당 10만~50만원을 받았다. 전과목에 걸쳐 문제를 파는 행위가 적발됐으며 대구의 한 수학교사 A씨는 최대 2억6000만원을 받았다.수능출제와 검토위원 경력이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