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골드 중국의 대미국 84% 보복관세가 10일(현지시간) 발효됐다. 중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125%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해 대외적으로 유럽연합(EU),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과 소통을 강화하는 동시에 내부적으로 경기 부양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중국 정부는 이날 낮 12시1분(현지시간) 미국산 수입품에 84%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 기준 시간 이전에 선적된 화물이 다음달 14일 0시 이전에 수입되면 추가 관세는 부담하지 않아도 된다. 앞서 미국은 지난 9일 상호관세가 발효된 지 13시간 만에 대중 관세를 104%에서 125%로 올렸다.미·중이 정면충돌하는 상황에서 중국은 우군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날 관영 영문매체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은 전날 틍쿠 자프룰 아지즈 말레이시아 투자통상산업부 장관과 화상으로 회담했고 지난 8일에는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과 만났다.왕 부장은 이들과의 회담에...
경남 창원시가 창원 제2국가산업단지 지정을 추진하면서 기업을 압박해 수요율을 4배 가까이로 ‘뻥튀기’한 정황이 확인됐다. 앞서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는 자신이 김건희 여사를 통해 이 사업을 성사시키려 했다고 밝혔다. 명씨가 부풀려진 수요율을 활용해 신규 산단을 유치하려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7일 경향신문 취재결과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실에서 일했던 A씨는 국가산단 후보지 선정이 진행되던 2023년, 수요조사에 참여한 기업들로부터 수요율이 조작됐다는 사실을 들었다. 당시 창원시는 신규 원전 및 방위산업 단지를 기획하면서 기업들에 입주 희망 여부, 희망 면적 등을 확인했는데, 이때 조사된 수요율이 실제 기업들의 수요와 크게 달랐던 것이다.기업들은 A씨에게 ‘창원시가 압박해 어쩔 수 없이 수요율을 늘려 적었다’고 실토했다고 한다. A씨는 “예정지 바로 옆 산단은 텅텅 비었는데 (예정지) 수요율이 300%가 넘었다고 하기에 이상해서 확인차 기업들에 전화를 걸었다”면서 ...
내수 부진이 길어지면서 지난해 프랜차이즈 브랜드 숫자가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 브랜드 수가 2019년 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맹본부와 가맹점 출점 증가세도 둔화했다. 다만 2023년 기준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전년보다 소폭 늘었다.공정거래위원회가 9일 발표한 ‘2024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를 보면, 지난해 가맹 브랜드 수는 1만2377개로 1년 전보다 0.4% 줄었다. 특히 도소매 업종의 브랜드는 4% 줄었으며, 외식업 브랜드도 0.6% 감소했다. 계속 증가 추세를 보이던 가맹 브랜드 수가 줄어든 건 2019년 통계 집계 이래 처음이다. 반면 서비스 업종 브랜드는 1.7% 증가했다.이는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내수경기 회복 지연 및 자영업 경영 여건 악화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 직영점 운영 의무화 제도 도입 직전 등록된 브랜드들이 지난해 대거 등록 취소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공정위는 분석했다.가맹점 수(36만5014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