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호주 연구팀 "1억년 전 공룡 장 내용물 화석서 다
작성자  (211.♡.142.97)
호주 연구팀 "1억년 전 공룡 장 내용물 화석서 다양한 식물 조각 확인"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거대한 초식공룡인 용각류(sauropod)는 수십t에 달하는 큰 몸집을 어떤 먹이로 유지했을까? 1억년 전 살았던 거대 초식공룡의 장 내용물 화석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다양한 식물을 거의 씹지 않고 삼켰고 소화 과정을 대부분 장내 미생물에 의존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거대 용각류 초식공룡 디아만티나사우루스약 1억년 전에 살았던 거대한 용각류 초식공룡인 디아만티나사우루스 마틸다(Diamantinasaurus matildae)가 먹이를 먹는 모습 상상도. [Travis Tischler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호주 커틴대 스티븐 포로팟 박사팀은 10일 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서 1억100만~9천400만년 전에 살던 디아만티나사우루스 마틸다(Diamantinasaurus matildae)의 복부에서 발견된 장 내용물 화석(cololite)을 분석,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포로팟 박사는 "다양한 식물이 있는 장 내용물 화석이 발견된 것은 용각류가 초식동물이라는 오랜 가설을 뒷받침한다"며 "이들은 다양한 식물을 거의 씹지 않고 삼켰고 소화를 거의 전적으로 장내 미생물에 의존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용각류는 화석이 모든 대륙에서 발견되고 최소 1억3천만년간 생존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장 내용물 화석은 발견된 적은 없었다. 이 때문에 용각류는 지금까지 대부분 이빨 마모 상태, 턱 형태, 목 길이 등 해부학적 특징을 토대로 초식동물로 추론돼 왔다. 연구팀은 공룡들의 먹이를 밝혀내는 것은 그들의 생물학과 고대 생태계에서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지만 잘 보존된 장 내용물을 가진 공룡 화석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고 특히 용각류 장 내용물 화석은 찾아보기 어려웠다고 지적했다.용각류 디아만티나사우루스의 장 내용물 화석[Stephen Poropa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2017년 호주 자연사 박물관 연구팀과 함께 퀸즐랜드주의 중생대 백악기 중기 지층인 윈턴층(Winton Formation)에서 성장기가 거의 끝난 용각류 디아민티나사우루스의 비교적 완전한 골격과 함께 잘 보존된 식물이 포함된 장 내용물 화석을 발견했다. 암석층 안에 있던 장 내용물 화석은 공룡 복부 부위에 국한돼 있고 광물화된 피부층과 밀접하고 일관되게 연결돼 있었다. 내용물 분석 결과 그 속에는 소호주 연구팀 "1억년 전 공룡 장 내용물 화석서 다양한 식물 조각 확인"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거대한 초식공룡인 용각류(sauropod)는 수십t에 달하는 큰 몸집을 어떤 먹이로 유지했을까? 1억년 전 살았던 거대 초식공룡의 장 내용물 화석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다양한 식물을 거의 씹지 않고 삼켰고 소화 과정을 대부분 장내 미생물에 의존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거대 용각류 초식공룡 디아만티나사우루스약 1억년 전에 살았던 거대한 용각류 초식공룡인 디아만티나사우루스 마틸다(Diamantinasaurus matildae)가 먹이를 먹는 모습 상상도. [Travis Tischler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호주 커틴대 스티븐 포로팟 박사팀은 10일 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서 1억100만~9천400만년 전에 살던 디아만티나사우루스 마틸다(Diamantinasaurus matildae)의 복부에서 발견된 장 내용물 화석(cololite)을 분석,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포로팟 박사는 "다양한 식물이 있는 장 내용물 화석이 발견된 것은 용각류가 초식동물이라는 오랜 가설을 뒷받침한다"며 "이들은 다양한 식물을 거의 씹지 않고 삼켰고 소화를 거의 전적으로 장내 미생물에 의존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용각류는 화석이 모든 대륙에서 발견되고 최소 1억3천만년간 생존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장 내용물 화석은 발견된 적은 없었다. 이 때문에 용각류는 지금까지 대부분 이빨 마모 상태, 턱 형태, 목 길이 등 해부학적 특징을 토대로 초식동물로 추론돼 왔다. 연구팀은 공룡들의 먹이를 밝혀내는 것은 그들의 생물학과 고대 생태계에서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지만 잘 보존된 장 내용물을 가진 공룡 화석은 거의 발견되지 않았고 특히 용각류 장 내용물 화석은 찾아보기 어려웠다고 지적했다.용각류 디아만티나사우루스의 장 내용물 화석[Stephen Poropa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2017년 호주 자연사 박물관 연구팀과 함께 퀸즐랜드주의 중생대 백악기 중기 지층인 윈턴층(Winton Formation)에서 성장기가 거의 끝난 용각류 디아민티나사우루스의 비교적 완전한 골격과 함께 잘 보존된 식물이 포함된 장 내용물 화석을 발견했다. 암석층 안에 있던 장 내용물 화석은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36,444 개, 페이지 4257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