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학교폭력변호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각국의 인프라 투자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 쾌속 질주하던 한국 건설기계 수출은 지난해 글로벌 경기침체와 건설시장 불황으로 제동이 걸렸다. 올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으로 전 산업이 타격을 받으면서 국내 건설기계 업계도 ‘긴장 모드’에 돌입했다. 수출시장 다변화와 현지화 전략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글로벌 보호무역 기조에 업계의 불확실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글로벌 경기침체, 트럼프발 관세에 꺽인 건설기계 수출 그래프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기계 수출량은 5만6323대로 전년 대비 36.8% 급감했다. 주력 수출 품목인 굴착기와 지게차 수출도 각각 49.8%, 28.5% 떨어졌다.지역별로 보면 전체 수출의 35.0%를 차지하는 북미 수출은 18억1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31.1% 감소했다. 또 전체 수출의 22.8%를 점유하고 있는 유럽 역시 11억7900만달러로 같은...
삼성전기가 주력 제품인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의 사업 영역을 스마트폰을 넘어 차량 전자·전기장비용으로 확장하는 가운데 중국 전기차 업체 BYD(비야디)에도 납품한다.15일 전자부품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최근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인 BYD에서 MLCC 공급에 대한 최종 승인을 얻어 본격 납품에 돌입했다.MLCC는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한 만큼의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해 반도체가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하는 핵심 부품으로 PC, 스마트폰, 가전제품, 자동차 등 거의 모든 전자제품에 필수적으로 들어가 ‘전자산업의 쌀’로도 불린다.보통 자동차에는 동력 전달, 안전, 주행, 인포테인먼트 등에 최소 3000개에서 1만개의 MLCC가 탑재된다. 전동화가 진행되면서 차량당 탑재되는 MLCC의 수가 1만2000개에서 1만8000개까지 늘어난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BYD는 올해 전기차 약 550만대를 생산한다는 계획이어서 다른 중국 전장업체들까...
불가리아에 이어 슬로베니아, 핀란드 원자력 발전소 건설 사업 수주에도 ‘청신호’가 들어오면서 현대건설이 원전 인재 확보에 나섰다.현대건설은 최근 핀란드 신규 원전 건설 사업의 사전업무착수계약(EWA) 대상자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현대건설에 따르면 핀란드 국영 에너지 기업 포툼(Fortum)은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해 2년간 다수의 원전 공급사와 포괄적 타당성 조사를 진행해 왔다.지난달 대형원전 부문에서 현대건설·웨스팅하우스 컨소시엄과 프랑스 국영전력회사 EDF가, 소형모듈원자로(SMR) 부문에서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 히타치 원자력에너지가 EWA 대상자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현대건설·웨스팅하우스 컨소시엄은 핀란드 원전 건설에 대한 심층 조사를 이어간다.현대건설은 슬로베니아 원전 사업에도 참여한다. 슬로베니아 국영 전력회사 젠 에너지(GEN Energija)가 추진 중인 크르슈코 신규 원전 건설 프로젝트(JEK2)에 현대건설·웨스팅하우스 컨소시엄과 EDF가 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