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일본 마트의 쓰케모노 코너. 왼쪽
작성자  (115.♡.73.207)
일본 마트의 쓰케모노 코너. 왼쪽 일본 마트의 쓰케모노 코너. 왼쪽 절반을 김치가 차지하고 있다. /에노모토 야스타카 제공 ‘쓰케모노’란 일본의 전통 채소 절임을 말한다. 각종 채소를 소금이나 쌀겨에 절여 만든다. 일본 식당에서는 보통 누카즈케(쌀겨 절임)나 오싱코(가볍게 절인 채소 절임), 다쿠안(단무지) 같은 쓰케모노를 메인 메뉴와 곁들여 준다. 일식에선 빼놓을 수 없는 반찬이라 현지 마트나 백화점에는 꼭 쓰케모노 판매 코너가 있는데, 요즘 상품들을 살펴보면 흥미로운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바로 쓰케모노보다 김치가 더 많이 진열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별히 한식 기획전을 하는 것도 아니다. 한국 김치는 오래전부터 일본 밥상에 침투해 있다.필자가 어렸을 때인 90년대까지는 이렇지 않았다. 2000년대 이후 일본에서 일어난 ‘제1차 한류 붐’ 때부터 일본의 현지 마트에서 김치 판매량이 늘어난 것 같다. 최근 일본 판매관리시스템(POS)의 데이터에 따르면, 쓰케모노 판매량의 상위권은 대부분 김치가 차지했다. 해마다 다소 변동은 있지만, 최근 몇 년간 판매량 상위 품목 20위 중 절반 이상이 김치다. 수요 증가에 따라 일본의 쓰케모노 업체들도 김치를 많이 만들게 되었다. 일본 식품 수요 연구센터의 조사 결과에서도 이제 쓰케모노 분류 중 김치 생산량이 가장 많다고 한다.사실 일본산 김치 맛은 한국과 꽤 차이가 있다. 원래 일본은 매운 걸 잘 못 먹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한국보다 덜 맵게 김치를 만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인은 일본에서 현지화된 김치에 만족할 수 없고, ‘기무치’라고 일본식 발음으로 부르며 야유하기도 한다. 물론 재일 교포가 운영하는 매장에서는 매운 김치를 판매하지만, 그런 제품을 찾기가 쉽지는 않다.하지만 최근에는 한국에서 직수입한 종가 김치나, 한국의 김치 맛을 살리면서 매운맛이나 산미를 약간 조정한 수입품 비비고 김치도 늘어났다. 이에 더해 ‘일본산 김치’도 여전히 잘 팔리기 때문에 여러 김치가 함께 ‘쓰케모노 코너 매출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이다. 일본 마트의 김치 코너만 봐도 다양성의 시대라는 것이 느껴진다. 덕분에 일본에 사는 한국인도, 필자처럼 한국인 입맛에 가까워진 일본인도 살기가 더욱 편해졌다.(시사저널=정성환 호남본부 기자)세상에서 가장 슬픈 항구, 전남 진도 임회면 진도항. 이곳은 세월호의 아픈 기억이 새겨진 곳이다. 세월호 사고의 수습 항구로 사용되면서 대중들에게 팽목항으로 널리 알려졌다.16일 세월호 참사 이후 11번째 봄을 맞았다. 이날 오전, 팽목항 방파제를 따라 내걸린 노란 깃발과 리본은 빛이 바래고 닳아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노란 리본이 새겨진 빨간 등대에는 하늘의 별이 된 304명의 희생자들을 기리는 국화가 가득 놓였다.방파제 난관에는 '304명의 별, 우리 마음에 영원히' '팽목기억공간 조성하라' '끝까지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책임자 처벌' 등의 문구가 새겨진 현수막 수십개가걸려 있었다. 바다 쪽 난관에 마련된 기억공간에는 '잊지 않을게' '봄은, 죽었다' '아픔보다 더 아픈 무관심' '별이 되어 반짝이는 너희' '부끄럽습니다' 등 추모의 글이 눈길을 사로잡았다. 16일 오전, 진도 임회면 팽목항 방파제를 따라 내걸린 노란 깃발과 리본은 빛이 바래고 닳아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노란 리본이 새겨진 빨간 등대에는 하늘의 별이 된 304명의 희생자들을 기리는 국화가 가득 놓였다. ⓒ시사저널 정성환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맞아 추모객들이 16일 오전, 진도 임회면 팽목항 방파제를 따라 노란 리본이 새겨진 빨간 등대 쪽으로 걸어가고 있다. ⓒ시사저널 정성환 그래도 '봄'은 왔다…"304명의 별, 우리 마음에 영원히"주변에 진도~제주 카페리 여객터미널이 들어서며 모습도 많이 달라졌지만, 팽목기억관은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단체로 온 추모객들은 기억관 안에 걸린 희생자들의 사진을 하나하나 새겨보며 위로했다. 맞은편 팽목 성당도 비바람을 견뎌내며 제자리를 고수하고 있었다. 세월호 가족들이 머물던 임시거처는 대부분 사라져 적막감만 흘렀다.'매년 추모일 2~3일 전에 비가 내린다'는 속설은 올해도 이어졌다. 지난주 토요일에도 진도 팽목항 일대는 많은 비가 내 일본 마트의 쓰케모노 코너. 왼쪽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15,308 개, 페이지 4256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