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4일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작성자  (211.♡.142.97)
4일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연안습지를 둘러싸고 일반 나무보다 탄소 저장 능력이 뛰어난 '황근'이 자라고 있다./문수빈 기자 지난 4일 바람이 일으킨 잔물결이 이는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연안습지. 습지를 둘러싼 까만 현무암에 뿌리를 내린 나무들이 줄지어 서 있는 것이 눈에 들어왔다. 가지마다 둥그스름한 초록색 잎을 내민 이 나무는 탄소 저장 능력이 뛰어난 ‘황근’이다. 황근은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 중립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주도가 선택한 나무다.세미 맹그로브숲에서 만난 고기봉 전 오조리 이장은 “꽃이 진 후에 맺힌 황근 열매는 아무 데나 뿌려도 잘 자란다”며 “가지를 꺾어 바닥에 심어도 잘 자라고, 조류를 타고 떠내려가면 연안 갯바위에 자라기도 한다”고 설명했다.맹그로브는 열대·아열대 지역의 해안 식물로, 일반 산림보다 탄소 저장 능력이 3~5배 뛰어나다. 이곳 오조리에 조성된 ‘제주 자생 세미 맹그로브숲’은 제주도가 올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인간이 배출한 탄소를 흡수하는 황근을 심어 숲 140헥타르(ha)를 조성하는 게 골자다. 탄소 중립과 녹색 성장 사회로 가는 길을 제주도가 한발 앞서 걷고 있는 것이다.45억원이 투입되는 세미 맹그로브숲 조성 사업은 올해부터 2029년까지 진행되는데, 첫 대상 지역이 바로 오조리다. 오조리에 국내 최대 규모 황근 자생지인 오름 ‘식산봉’이 있어서다. 제주도는 2026~2027년엔 구좌와 남원, 2028~2029년엔 한림과 대정에도 세미 맹그로브숲을 만들 계획이다. 제주도는 세미 맹그로브숲이 연간 296톤, 30년간 총 8890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4일 고기봉 전 오조리 이장(사진 왼쪽)이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연안습지에서 자란 황근을 설명하고 있다./문수빈 기자 고 전 이장이 세미 맹그로브숲 홍보에 나설 정도로 해당 사업은 민과 관이 함께 ‘맹글어’ 가고 있다. 고 전 이장은 “(연안습지의 규모가) 오조리만 80만평”이라며 “시흥·종달·하도까지 묶으면 엄청난 양이라 도에서 추진하는 목표는 달성될 것으로 봐마씸(보입니다)”이라고 말했다.식목일을 앞둔 지난 3월 제주도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중국이 유럽연합(EU)을 대상으로 하는 희토류 수출 승인 절차를 가속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전기차 관세 협상은 막바지에 달했으며, 프랑스산 코냑 등과 같은 EU산 브랜디에 대한 반덤핑 관세 최종 결정은 오는 7월 5일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 장관(사진=AFP) 중국 상무부는 7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게재한 성명을 통해 “EU 기업들의 자격 요건이 충족된 신청에 대해서는 전용 심사(그린채널)를 통해 희토류 수출을 신속히 승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희토류 수출 통제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충격을 완화하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이어 중국은 로봇과 전기차 등 분야의 수요 증가를 인식하고 있으며, 희토류 수출 통제와 관련해 관계국들과의 소통과 대화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앞서 중국은 지난 4월 자동차·항공우주·반도체·군수산업 등 세계 핵심 산업의 공급망에 타격을 줄 수 있는 광범위한 희토류 및 관련 자석류의 수출을 전격 중단한 바 있다.이번 입장은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과 마로스 세프코비치 EU 무역 담당 집행위원 간의 지난 4일 프랑스 파리 회동에서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발표됐다. 중국과 EU가 최근 1년간 외교적 긴장을 키워온 무역 현안들이 일부 진전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보인다.중국과 EU 양측 갈등의 핵심이었던 EU산 브랜디에 대한 중국의 반덤핑 조사는 원래 올해 1월 최종 결론이 날 예정이었으나, 두 차례 연기 끝에 7월 5일로 결정됐다. 현재 프랑스 코냑 업체들을 포함한 관련 기업들과의 가격 약속 협상이 핵심 조건에 대해 잠정 합의된 상태라고 중국 상무부는 설명했다.중국은 지난해 EU가 자국산 전기차에 대한 보호 조치(최소가격 설정)를 추진하자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프랑스산 코냑 중심의 브랜디 수입품에 최대 39%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이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중국의 순수한 보복”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아울러 중국 상무부는 중국과 EU 간의 전기차(EV) 수출 관련 최저가격 설정 협상도 막바지 단계에 이르렀다며, 양측의 추가적인 노력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밝혔다.앞서 EU 집행위원회는 지난 4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최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36,781 개, 페이지 4227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