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학교폭력변호사 경남·경북 일대를 휩쓴 산불은 한국 산림의 특성, 취약한 산불 대응 인프라 등 여러 과제를 남겼다. 특히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소나무림이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바람에 산불이 급속히 퍼졌다는 일부 환경 전문가들의 지적은 계속 논란이 되고 있다. 환경생태학자 오충현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는 “무조건 자연으로 두기 보다는 활엽수가 잘 자라는 곳은 활엽수를 심고, 소나무가 잘 자라는 곳은 소나무를 심는, 균형잡힌 시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의 주장은 일종의 현실론에 가깝다.지난 15일 서울 합정동에서 만난 오 교수는 소나무가 이번 산불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에 대해 “소나무가 잘 타는 건 명약관화하다. 소나무(침엽수)가 활엽수에 보다 불에 취약한 것도 사실”이라며 “다만 소나무는 상대적으로 척박한 곳에도 뿌리를 내리기 때문에 능선에서 많이 자라는데, 소나무가 있는 능선은 바람이 더 심하게 불기 때문에 나무가 더 잘 타고 불씨가 바람을 타고 멀리 날아가기 쉽다”고 설명했다.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