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민주주의 및 인권 담당 조직을 대폭 축소하는 과정에서 국무부의 북한인권특사 자리가 공석이 된 것으로 확인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당시에도 이 자리가 비자 그대로 남겨뒀다.22일(현지시간) 미 국무부에 따르면 6년간 공석 끝에 2023년 북한인권특사로 임명됐던 줄리 터너 대사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민주주의·인권·노동국에서 부차관보 직무대행으로 근무하고 있다. 터너 대사는 미 상원 인준 등 절차를 거쳐 2023년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북한인권특사를 지냈으나, 정권 교체 이후 특사직에선 물러났다.터너 대사의 북한인권특사 면직은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라 정부 내 있던 각종 특사가 일제히 정리되면서 같이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외 정책에서 인권 문제를 중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특사직이 계속 공석으로 남을 가능성도 크다.앞서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국 동아태 담당과장이었던 터너 대사는 2023년 1월 조 ...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으로 재판을 받고 있는 무속인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둘러싼 의혹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윤 전 대통령 및 그의 측근들과의 친분을 과시해온 전씨가 2018년 지방선거에서 공천 청탁을 했다는 의혹이 추가로 나왔고, 종교단체 관계자로부터 김건희 여사를 위한 선물 명목으로 고가의 귀금속을 받았다는 의혹까지 새로 제기됐다.23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단(단장 박건욱 부장검사)은 지난 20일 전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전씨의 휴대전화를 압수해 조사하는 과정에서 2018년 지방선거 관련 각종 청탁 의혹과 함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 전직 간부에게서 ‘김 여사를 위한 선물’이라며 고가의 목걸이를 전달받은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전씨는 2018년 지방선거 때 경북 영천시장 경선 예비후보로 나선 정재식 당시 영천농업기술센터 소장 측으로부터 ...
“A와 B는 같은 학과에서 어떻게 그리 잘 지냈대?” 내가 있는 학교의 교수 A와 B를 언급하며 몇년 전 지인이 했던 질문이다. 이 둘은 사회적으로 이름난 교수인데 A는 ‘이른바’ 진보, B는 ‘이른바’ 보수 정권의 대통령 인수위나 전략기획팀에 영향력이 꽤 크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러니까 지인은 정치적 신념이 딴판인 A와 B가 어떻게 같은 학과에서 갈등 없이 지냈는지 물어본 것이다. “정치 지향적 관점에서 보면 완전히 달라 뵈는데, 젠더 관점에서 보자면 그 둘은 아주 똑같거든.” 망설임 없는 나의 즉답에 지인은 고개를 끄덕였다.2017년 촛불혁명 광장의 열기를 몰아 집권한 당시의 여당이 ‘적폐 청산’을 앞세웠듯, 2025년 ‘빛의 혁명’ 결과로 정권이 들어선다면 이번 여당은 분명 ‘내란 종식’을 내걸 것이다. 부끄럽고 부정한 과거와의 단절을 통해 새판을 짜겠다는 결연한 다짐, ‘청산’과 ‘종식’만큼 유권자에게 ‘새 세상’에 대한 희망을 주는 정치적 구호도 없을 것이다.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