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전쟁으로 실험 기자재 가격 인상이 예상돼 미·중 대학 연구실이 타격을 받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5일 보도했다.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따르면 실험 기자재 공급망에서 중국은 유리관, 시약 등 기본적 실험장비 공급을 담당한다. 독일과 일본은 현미경과 정밀분석장비 등 고급 실험기구, 스위스와 영국은 진단도구와 항체, 특수화학물질의 주요 수출국이다. 미국산 분광기도 부품의 30~50%는 외국산이다.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최종 14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 대학은 유리 비커, 시험관 등 기본 장비를 구입할 때마다 ‘가격 폭탄’을 떠안게 됐다.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는 상호관세 발효가 90일 유예됐지만 최종 부과될 관세율은 불투명하다. 불안한 상황을 반영해 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티아모’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하버드대의 중국인 박사 후 연구자는 온라인에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
피아노를 배우던 일곱 살 소년 양성원은 1975년 3월 이화여대 강당에서 거장 야노스 슈타커(1924~2013)의 독주회에서 큰 감동을 받고 첼로로 전향했다.한국 첼로계의 간판 스타로 꼽히는 첼리스트 양성원(58)은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신영체임버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50년 전 독주회가 아직도 기억난다”면서 “그날 이후 첼로와 함께하는 인생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1세대 바이올린 연주자였던 아버지로부터 슈타커 선생님이 첼로를 일곱 살에 시작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나와 같은 나이에 시작했구나’라는 생각에 기뻤죠. 선생님은 언제나 저의 ‘아이돌’이었습니다.”양성원은 파리 음악원을 졸업한 후 19세이던 1986년 인디애나대학교 음대에서 마침내 존경하던 슈타커의 제자가 됐다. 양성원이 EMI에서 낸 데뷔 음반도 슈타커의 전매특허와도 같았던 코다이의 무반주 첼로 소나타였다. 이 음반은 2003년 영국의 클래식 전문지 그라모폰의 ‘에디터스 ...
“공간이 의식을 지배한다.”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2년 3월 대통령 당선인 시절 이같이 말하며 ‘제왕적 대통령’의 상징인 청와대를 나와 용산 국방부 청사에 대통령실을 두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 2년11개월간 용산은 불통의 상징이 됐고 12·3 비상계엄 사태로 ‘내란’의 주모지로 평가받고 있다.이처럼 윤석열 정부의 실패를 나타내는 ‘용산 대통령실’ 이전 문제가 21대 대통령 선거 국면에서 주요 의제로 부상하고 있다. 정권을 되찾아오려는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을 중심으로 논의가 본격화한 양상이다. 특히 지역균형발전 차원의 세종시 이전은 과거 헌법재판소의 ‘행정수도 이전’ 위헌 결정 등 법적 논란과 맞물려 쟁점이 되고 있다.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들이 대통령실 이전을 선제적으로 의제화했다. 지방분권을 강조하며 출마한 김경수 후보가 지난 14일 용산 대통령실을 “불법으로 쌓아올린 내란의 소굴”이라며 “단 하루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포문을 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