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술 굴기의 상징인 화웨이가 미국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 H100 성능에 맞먹는 최신 AI 칩을 다음달부터 고객사들에 대량으로 공급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주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중국 맞춤형 AI 칩 H20 수출을 막으면서 화웨이가 그 빈자리를 채울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하는 모양새다.로이터통신은 21일(현지시간) 여러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화웨이가 첨단 집적 기술을 활용해 기존 어센드 910B 프로세서 2개를 하나의 패키지로 결합한 910C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개발했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910C는 기술적 혁신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910B 연산 능력과 메모리 용량의 2배를 갖춘 것으로 전해졌다. 화웨이는 지난해 말 910C 샘플을 기술기업들에 배포해 주문을 받기 시작했으며, 일부 물량은 이미 공급이 이뤄졌다고 소식통들은 말했다.미국 정부는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이유 등을 내세워 첨단 반도체에 대한 중국의 접근을 막아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는 미 하버드대가 21일(현지시간) 연방정부의 보조금 지급 동결 결정이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조치라며 소송을 제기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하버드대 사이의 갈등이 전면전으로 치닫고 있다.하버드대는 이날 매사추세츠주 연방 법원에 낸 소장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 보조금 중단 조치가 “대학의 학문적 결정에 관한 통제권을 확보하려는 수단”이라며 이를 멈춰달라고 밝혔다. 대학 측은 연방 정부가 “학술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의 통제에 굴복하게 만들기 위한 압박 캠페인”의 일환으로 지원금을 중단했다고 주장했다.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이날 성명에서 “지난주 연방정부는 하버드대가 (정부의) 불법적인 요구를 수용하지 않겠다고 거절한 이후 여러 조치들을 취했다”며 “이는 정부 권한을 넘어서 위법하기 때문에 우리는 보조금 중단을 멈춰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가버 총장은 특히 연구 지원금 등의 동결 조치가 학생, 교수진, 직원,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