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주 앞으로 다가온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형마트가 잔뜩 긴장하고 있다.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과 영업제한 등에 대한 대선 후보들의 정책 방향에 따라 사업 환경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서다.1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대통령 선거운동이 본격화하면서 대형마트가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을 두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현행법은 매월 둘째·넷째주 일요일에 대형마트는 휴무해야 하며 평일 밤 12시부터 다음날 오전 10시까지 영업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아직까지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등 모두 유통법과 관련한 구체적인 대선 공약을 내놓고 있지는 않지만 새 정부 출범에 따라 희비는 엇갈릴 수밖에 없다.대형마트는 고물가 시대 소비침체는 물론 전자상거래(e커머스)의 공세 등을 이겨내기 위해선 유통법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최근 바뀐 소비자 트렌드를 따라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e커머스가 급성장하면서 유통시장의 경쟁 구도가 대형마트 대 전통시장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불참으로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에서 의미 있는 성과가 도출될 가능성이 작아졌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이번 협상 국면의 최대 수혜자라는 분석이 나온다.에르도안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친분을 무기 삼아 국제사회에서 중재자 역할을 자임하면서 체급을 키우고 있는 데다, 이를 통해 국내 정세 불안을 잠재우는 효과도 거두고 있다는 것이다.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15일(현지시간) 국제적으로 ‘왕따’ 신세를 면치 못했던 에르도안 대통령이 ‘평화 중재자’를 자처하며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국면에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고 보도했다.트럼프 대통령까지 적극적으로 거들었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정상회담 역제안을 푸틴 대통령이 거절하면서 이번 협상에서 종전 돌파구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는 작아졌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판은 쪼그라들었지만,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와의 신경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