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지역에서 폭염 관련 구급차 출동 건수가 지난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8일 전남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전남지역 폭염 관련 구급 출동은 총 667건으로 이송 환자는 610명이었다. 지난해에는 출동 323건, 이송 292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온열질환 구급 출동은 6월부터 시작해 7∼8월에 85%가 집중됐으며 열탈진과 열사병이 주요 증상이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 고령자 비중이 높고, 남성(62%)이 여성(38%)보다 많았다.전남소방본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이 재난 수준으로 확대됨에 따라 온열질환 대응체계를 9월까지 운영하기로 했다. 온열질환은 열로 발생하는 급성질환이다.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어지러움·의식 저하 등 증상을 보이고 방치 시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전남소방본부는 얼음조끼, 얼음팩, 식염포도당 등 9종의 폭염 대응 장비를 구급대 139대·펌뷸런스 54대에 비치해...
경기 용인시 전철공사장에서 중장비인 천공기(지반을 뚫는 건설기계)가 아파트 건물로 넘어진 사고로 인해 아파트 주민들이 긴급 대피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주민들은 인근 숙박시설 등으로 이동해 뜬눈으로 밤을 지새워야 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공사 현장을 찾아 사고 수습 상황을 점검했다.6일 경기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사고는 전날 밤 10시13분쯤 용인 기흥구 서천동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공사 현장에 있던 길이 44m, 무게 70t의 천공기가 인근 아파트로 넘어지면서 발생했다. 천공기는 지난달 31일 작업 후 대기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천공기는 현재 아파트 8층 부근부터 15층까지 건물 벽면에 기댄 모습으로 쓰러져 있다.이 사고로 최상층인 15층 벽면 일부와 베란다 창문 등이 파손됐다. 또 60세대 규모의 이 아파트 건물 주민 150여명이 대피했다. 사고 발생 직후 급히 현장을 빠져 나온 주민들 대부분은 친척 집과 용인시가 인근에 마련한 임시거처 등에서...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4일 출범한 이재명 정부가 당면한 최우선 과제로 관세 등 무역 문제와 주한미군 역할 재조정 문제를 꼽으면서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와의 무역 협상 진전이 초기 한·미 관계 설정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억제를 위한 동맹국의 역할 확대를 요구하는 트럼프 행정부와, 한·중 관계 개선을 추구하는 이재명 정부가 마찰을 빚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앤드루 여 브루킹스연구소 한국석좌는 3일(현지시간) 경향신문 기자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철강 관세가 25%에서 50%로 인상되면서 무역 관련 우려가 더욱 커졌다”며 “무역협정 타결에 진전이 있다면 한·미 관계에 좋은 분위기가 조성될 것이고, 조기 정상회담 성사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여 석좌는 다만 상호관세 유예 종료일(7월9일) 전까지 ‘패키지 합의’를 도출하려 서두르기보다는 “미국과 다른 나라 간 협상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다르시 드라우트베하레스 카네기국제평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