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유재광 앵커: 서울광역방송센터입니다. 내
작성자  (203.♡.225.186)
△유재광 앵커: 서울광역방송센터입니다. 내란 특검법, 김건희 특검법, 채해병 특검법, 3대 특검법안이 오늘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심의, 의결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우리는 국민들로부터 위임받은 일을 하는 사람들"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해당 특검은 20일의 준비 기간을 거쳐 본격 가동되는데 헌정 사법사상 특검 3개가 동시에 가동되는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여의도초대석',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과 정치권 현안 짚어보겠습니다. 의원님 어서 오십시오. ▲전현희 의원: 안녕하세요. △유재광 앵커: 윤석열 정부에서 국민권익위원장 임기 다 채우시면서 수모도 좀 많이 당하셨고 했는데. 이재명 대표 2기 체제에서 최고위원 하시면서 이번에 공동선대위원장 맡아서 3년 만에 정권 조기교체, 감회가 좀 있으셨을 것 같은데요. 어떠셨어요?▲전현희 의원: 네. 3년 전 이맘때 윤석열 대통령이 "전현희 권익위원장 국무회의 오지 마라" 이렇게 꼭 집어서 국무회의 참석을 이제 못하게 했고, 그 이후로 1년 가까이 정권으로부터 탄압을 받았는데요. 근데 이번에 이재명 대통령께서 지난 정권 장관들, 국무위원들 모두 함께 모여서 같이 식사도 하시고 회의도 같이 하시고 업무를 하는 걸 보면서 격세지감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그게 차이가 아니었나. 그게 바로 두 분의 다른 점이 아니었나. 그것이 윤석열 정권이 그렇게 국민들의 그런 신의를 받지 못하고 조기 종식되게 된 그런 원인이 아니었나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유재광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한남동 관저로 민주당 지도부 초청해서 만찬을 했는데. 다녀오셨죠?▲전현희 의원: 네. 지난 주말 일요일에 다녀왔습니다.△유재광 앵커: 그런데 지금 세간에서 엄청 화제고 저도 개인적으로 궁금한데 개 수영장 그거 혹시 보셨나요? 논란이 있던데.▲전현희 의원: 네. 저희들이 이제 관저에 도착하자마자 안내된 곳이 잔디밭, 야외 잔디밭이었는데 거기 한가운데에 좀 약간 좀 주위 환경과 어울리지 않는 그런 이제 수영장 비슷한 구조물이 있더라고요. 근데 깊이가 사람들이 수영할 수 있는 그런 깊이는 아니었어요. 가장 깊은 곳이 한 50cm 정도, 그러니까 무릎 아래로 오는 정도의 깊이인데 생 ▲(사)한국다큐멘터리학회는 지난달 31일 성균관대학교에서 ‘2025년 춘계학술대회’를 열고 발표 및 토론을 진행했다. [사진제공=한국다큐멘터리학회] (사)한국다큐멘터리학회(제4대 회장 서울디지털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강소영)가 지난 5월 31일 성균관대학교 경영관 LVS(Live Virtual Studio)에서 ‘정치와 다큐멘터리’라는 주제로 2025년 춘계 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사)한국다큐멘터리학회와 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문화융합연구소 주관으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현재 우리나라의 급격한 정치 변화 속에서 다큐멘터리의 학문적 깊이와 사회적 가치를 인식할 수 있는 자리이다. ▲개회사 하는 강소영 다큐멘터리학회장(서울디지털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학술대회 주요 내용은 개회식과 발표 및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학회 참석자들은 다양한 학술주제 발표와 토론을 통해 그동안 수행해 온 연구 내용을 공유했다. 이날 개회식에는 조규헌 상명대 교수의 사회로 ▲개회사(강소영 한국다큐멘터리학회 회장) ▲축사(추교진 한국독립피디협회 회장) ▲기조연설(언론인권센터 이사장, 경희사이버대 겸임교수)이 이뤄졌다. 2025년 한국다큐멘터리학회의 춘계학술대회를 연 강소영 회장은 “2025년 춘계학술대회는 ‘정치와 다큐멘터리’를 주제로 열리게 됐다”며 “매년 시대를 반영하는 뜨거운 주제로 학술대회 개최하고 있는데 6.3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정치 사회적으로 역사의 큰 전환점에서 다큐멘터리가 현실을 비추는 거울이자 현실을 바꾸는 힘이다”라고 이번 학회의 주제를 소개했다. 기조연설에서 심영섭 언론인권재단 이사장(경희사이버대 겸임교수)이 “기록하지 않은 사건은 기억되지 않는다”며 “디지털 플랫폼 시대의 다큐멘터리가 주요 기록으로 사회적 관계 안에서 형성되고 공감되는 집단 기억으로 기록되지 않으면 전승되지 못한다는 점에서 다큐멘터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학술대회는 많은 연구진들이 참여해 우리나라의 정치적 민주화 과정에서 사회의 다양한 갈등과 진영대립, 정치 양극화의 해법으로 다큐멘터리의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 ▲유영초 한국외대 겸임교수(오른쪽) 발표 및 토론 발표1에서는 유영초 한국외대 겸임교수(산림문화콘텐츠연구소 소장)는 ‘생태민주주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137,046 개, 페이지 4173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