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카사이트 30일 강원 강릉시 자원순환센터에 가뭄 사태 당시 시민 등에게 공급된 뒤 회수된 빈 생수 페트병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연합뉴스>
동료들이 말하는 ‘가왕’ 조용필
■조용필, 이 순간을 영원히-프리퀄(KBS2 오후 10시) = KBS 대기획 <조용필, 이 순간을 영원히> 3부작의 첫 번째 이야기, 콘서트 프리퀄이 3일 밤 방송된다. 프리퀄에서는 ‘가왕’ 조용필의 명곡들과 이야기를 조명한다. 작사가 김이나, 가수 박정현, 음악평론가 임진모 등 조용필과 특별한 인연이 있는 12인이 출연해 조용필의 음악세계를 탐구한다. 2부는 콘서트 실황, 3부는 다큐멘터리로 편성된다.
귀농 신부님 찾아온 ‘길냥이 가족’
■고양이를 부탁해(EBS1 오후 7시20분) = 한국살이 35년 차인 서명원 신부와 고양이 14마리의 특별한 인연을 만나본다. 프랑스계 캐나다인인 그는 2015년 한국으로 귀화했다. 지금은 농촌 공동체에서 자급자족하며 농부의 삶과 수도의 삶을 이어가고 있다. 어느 날 그에게 우연히 찾아온 들고양이들. 서 신부는 고양이들을 신의 선물처럼 여긴다. 신부님과 고양이들은 이제 소중한 가족이 되었다.
서울시 마을버스조합이 4일 “서울시와 2025년 재정지원기준액을 확정했을 뿐 대중교통 환승탈퇴를 철회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재정기준액 확정은 이번 환승탈퇴 선언과 관계없이 대중교통 환승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조건일 뿐 향후 처우개선 등에 관한 논의가 이어지지 않는 한 기존대로 2026년 1월 1일자로 대중교통 환승체계에서 탈퇴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마을버스 대중교통 환승체계 유지를 위해 매년 마을버스 1대당 재정지원 기준액을 설정에 이에 맞춰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서울특별시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마을버스조합의 환승탈퇴 철회내용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서울시와 협의과정에서도 환승탈퇴 철회는 상호간 언급한 적이 없으며, 합의문에도 환승탈퇴 철회 내용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말씀드린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합의문은 단지 마을버스 운송서비스 개선을 위한 조합과 서울시의 향후 운행계통과 재정지원에 관한 합의문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마을버스조합은 이번 서울시와의 합의문 체결 배경에 대해서도 밝혔다.
조합은 “연초에 확정됐어야 할 ‘2025년 재정지원기준액’을 서울시가 추석명절을 앞두고서도 확정짓지 않고 재정지원도 하지 않아 업계는 마을버스 기사 급여지급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면서 “조합은 서울시에 다시 한 번 신속한 재정기준액 결정을 요청했고, 이에 ‘2025년 재정지원 기준액’을 결정하기 위해 갑작스럽게 합의문을 작성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합은 다만 서울시와 함께 처우개선 등을 논의하는 실무자협의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조합은 “조합이 서울시에 요구하고 있는 환승손실금 보전 및 운송원가 현실화 등 핵심 요구사항을 두고 추석명절 이후 신속하게 실무자협의회를 구성·운영해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협의가 원만히 이뤄지지 않을 경우에는 조합이 밝힌대로 2026년 1월 1일자로 환승탈퇴를 강행하게 된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시는 전날인 3일 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과 ‘마을버스 운송서비스 개선을 위한 합의문’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시는 합의문에 마을버스에 대한 서울시의 지원을 확대하고, 마을버스 역시 운행횟수와 배차간격 등 운행 질 향상과 회계 투명성을 제고하는 내용을 담았다고 전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마을버스조합의 입장과 관련해 “시와 조합이 시민의 이동편익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합의한 만큼 앞으로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소통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