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õ���������Դϴ�.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정책을 짜야 한다던 민주당은 어디로 갔는가.”기후위기비상행동 등 시민사회단체들이 22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의 ‘원전 수명 연장’ 등 에너지 정책 구상을 비판했다. 이 후보는 AI(인공지능) 산업의 전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노후 핵발전소 수명연장 등 핵발전을 포함한 에너지 믹스를 논의하고 있다고 밝힌 상태다.시민사회는 이 후보의 원전 회귀 등 에너지 정책 ‘우클릭’ 행보를 우려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은 고사하고 2022년 대선 당시 이 후보가 내세운 ‘감원전’ 기조마저 폐기했다는 것이다. 시민사회연대체는 “사실상 ‘안전한 수명연장’이라는 말로 윤석열의 핵폭주 정책을 계승하는 것”라고 지적했다.최경숙 탈핵시민행동 집행위원장은 “2023년 광장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투기를 반대하던 민주당의 모습을 기억한다”며 “일본의 무책임한 방류를 비판하려면 우리부터 원전 중심의 에너지...
2019년 부산의 한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노동자 2명이 추락사한 사고와 관련해 재판에 넘겨진 건설사 한신공영이 대법원에서 유죄를 확정받았다. 이 사건은 양승태 전 대법원장이 퇴임 후 변호사로 나선 뒤 처음 수임해 더 주목을 받았다.23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3부(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한신공영에 벌금 700만원을 선고한 원심판결을 지난 3일 확정했다. 양 전 대법원장은 지난해 5월 변호사 활동을 시작하면서 정식으로 이 사건을 수임했다. 법조계에서는 양 전 대법원장이 후배 대법관들이 담당하는 상고심 사건의 변호를 맡은 것이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나왔다. 양 전 대법원장은 당시 ‘사법농단 의혹’으로 재판을 받고 있기도 했다.한신공영은 2017년 10월~2020년 6월 부산시 기장군의 한 아파트 신축공사 시공을 맡았다. 2019년 6월 공사 현장에서 승강로를 청소하던 노동자 2명이 사망했다. 이들은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고 가설 경사...
한·미 양국이 오는 24일(현지시간) ‘2+2 통상협의’에서 통해 본격적인 관세 협상에 돌입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관세 전쟁을 선포한 이후 처음으로 양국 재무·통상 수장이 마주 앉는 만큼 미국 측에선 액화천연가스(LNG) 투자협력을 비롯해 소고기·쌀 개방 요구 등 전방위적인 압박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6·3 대선을 불과 40여일 앞둬 정치적 부담이 큰 상황에서 이번 협의는 미국 측의 요구사항을 듣는 ‘탐색전’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나온다.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한미 2+2 통상 협의’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22일 출국했다. 최 부총리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24일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USTR(미국무역대표부) 대표와 만나 ‘한미 2+2 통상 협의’를 할 예정이다.최 부총리는 이날 출국 전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미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