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장성군은 “지역 명소를 여행하는 장애인들 불편을 겪지 않도록 ‘무장애관광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무장애관광지원사업은 ‘장성 방문의 해’인 올해 새롭게 추진하는 사업이다. 휠체어를 타고 관광명소를 둘러보기 위해선 ‘무장애 지점’의 정보가 가장 중요하다는데서 착안했다.사업은 정보 제공과 체험 콘텐츠로 나뉜다. 장성을 대표하는 백양사와 장성호 수변길, 축령산 편백숲, 홍길동테마파크, 황룡강, 평림댐 장미공원, 금곡영화마을 등 관광코스 10곳에는 무장애관광 안내지도를 제작했다. 지도에는 장애인 전용 화장실과, 주차구역 등 편의시설이 상세히 적혀있다.또 무장애 지점 정보를 공유하는 ‘윌체어 앱’에 장성지역 점포의 경사로, 문턱, 테이블 등에 관한 정보도 제공한다.무장애 관광코스를 즐길 수 있는‘스탬프 투어’도 마련했다. 장성 황룡강 일대 휠체어를 이용해 여행할 수 있는 6곳을 지정하고 스탬프함을 설치했다. 스탬프를 다 모은 참가자는 소정의 경품이 제공된다....
SPC삼립 경기 시흥시 시화 공장에서 지난 19일 오전 3시쯤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뜨거운 빵을 식히는 컨베이어 벨트가 잘 돌아가도록 윤활유를 뿌리는 작업을 하다 기계에 몸이 끼인 것이다. 안타깝고 참담하다.국내 제빵시장의 80%를 장악한 SPC의 산재는 처음이 아니다. 4년이 채 안 되는 기간에 벌써 3번째 사망사고가 일어났다. 2022년 10월 평택 SPL 제빵공장에서 20대 노동자가 소스 교반기에 끼여 숨졌고, 2023년 8월엔 성남 샤니 제빵공장에서 50대 노동자가 반죽기계에 끼여 사망했다. 이외에도 기계에 손가락이 절단되거나 골절상을 입는 사고가 잇따랐다. SPC는 언제까지 일터에서 끔찍한 산재를 반복하는 ‘죽음의 빵공장’이 될 것인가.SPC는 사고가 일어날 때마다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그러나 모두 공염불이었다. 허영인 SPC그룹 회장이 기자회견을 열어 사과하고 안전관리를 위해 3년간 1000억원을 투자한다는 대책을 발표한 것이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