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인터넷 새해 첫날 MBC에서는 UHD다큐멘터리 <0교시 기후위기>를 방송한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기후위기, 기후위기로 인한 기후재난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애쓰는 아시아 지역 10대들의 이야기다.취재진은 네팔에 사는 10대 소녀 니샤의 등굣길을 동행 취재한다. 네팔에서는 최근 산사태 등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 니샤는 매일 아침 학교에 갈 때마다 기후재난을 피부로 느낀다. 등굣길 곳곳이 산사태로 인해 무너져내렸기 때문이다. “산사태가 나서 학교 가는 길이 끊어졌어요.”방글라데시, 몽골, 베트남도 마찬가지다. 방글라데시는 극심한 홍수와 해수면 상승, 몽골은 혹한과 홍수, 베트남은 폭풍과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농지 파괴 문제를 겪고 있다. 취재진은 각 나라 10대들의 시선에서 기후위기 문제를 전한다. 이들은 현재의 기후위기를 어떻게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을까.<0교시 기후위기>의 내용들은 그동안 뉴스데스크에서 방송됐던 ‘아시아임팩트’ 연속 보...
제주항공 참사 여객기인 보잉 ‘737-800’ 기종이 미국 감독당국으로부터 안전 문제를 해결하라는 ‘리콜’ 지시를 지난해 총 6차례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사고 원인으로 지목된 랜딩기어(비행기 바퀴) 결함과 관련된 시정명령은 최근 몇 년간 전무했다.이 같은 사실로 미뤄볼 때, 항공기 자체가 가진 결함보다는 조류 충돌 같은 외부 요인이 참사를 초래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1일 미국 연방항공청(FAA)에 따르면, 이 기관은 737-800 기종에 지난해 총 6차례 ‘감항성 개선지시(AD)’를 내렸다. 잠재적 위험요소를 검사·수리·정비 등을 통해 해결하라는 지시다. 자동차 업계의 리콜과도 같다. 감항성은 선박·항공기가 안전하게 운항하는 능력을 말한다.가장 최근인 지난해 10월 FAA는 해당 기종의 갤리(기내 주방) 전선이 화재에 취약하다고 지적했으며, 기내 에어컨 지지대의 균열 위험도 개선하라고 했다. 9월에는 디스플레이 전자장치(DEU) 소프트웨어 오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