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축구중계 제약기업 대웅은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의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 과제에 재생의료 분야 핵심 기술로 평가받는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 대량 생산 기술 개발’ 과제가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인체 장기의 축소판’이라고 불리는 오가노이드는 우리 몸속 장기를 모방해 만든 3차원(D) 형태의 조직이다. 주로 심장, 간, 신장 등 주요 장기나 조직의 기능이 손상된 환자에게 적용돼 장기 재생을 돕고, 치료가 어려운 난치병에 활용될 수 있다.이번 과제는 총 3개의 세부 과제로 이루어져 있다. 대웅은 세부 과제 1의 총 책임기관이자, 세부 과제 전체를 총괄한다.대웅에 따르면 오가노이드의 3차원 배양 환경에 필요한 세포외 기질, 특수 성장인자, 첨가물 등 핵심 소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산화가 필요한 상황이다.또 오가노이드의 제조 공정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작업자에 따라 품질에 편차가 발생해 고품질 오가노이드를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데 어려움이...
대기업 10곳 중 6곳 이상이 올해 1300원대 환율을 적용해 사업계획을 세웠으며, 최근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50대 기업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주요 대기업의 환율 영향 조사’ 결과를 보면, 2025년 사업계획 수립 때 현재 수준인 1450∼1500원 범위로 환율을 적용한 기업은 11.1%에 불과했다.이어 1350∼1400원 범위가 33.3%, 1300∼1350원 범위가 29.6%로 뒤를 이었다. 주요 대기업 10곳 중 6곳 이상이 올해 사업계획에 1300원대 환율을 적용한 셈이다.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12월 초 비상계엄 사태 직후 1430원대까지 오른 후 18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2025년 금리인하 횟수를 조정하겠다고 발표하자 1450원대를 돌파해 현재까지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이러한 환율 수준과 기업들이 사업계획 수립 시 적용한 환율이 차이가 발...
1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5년 설맞이 온라인 한우장터’ 행사에서 모델들이 한우자조금 캐릭터 인형과 행사를 홍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