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육권 새해 경제 전망에 대한 질의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환율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워낙 환율의 상승세가 가파르고, 대내외 경제를 둘러싼 여건이 불확실하다 보니 외환위기, 혹은 금융위기의 가능성을 묻는 질문들도 함께 받곤 한다. 최근의 국내 경제 여건이 어려운 것은 맞지만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을 받아야 했던 1997년이나,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급격한 위기의 가능성을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일 것이다. 우선 비상계엄 사태 이후 나타날 수 있는 국내 금융기관의 신용경색 해소를 위해 한국은행은 무제한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을 이어가고 있다. 단기 유동성 공급을 원활하게 유지, 금융기관의 유동성 위기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는 데 목적을 둔다. 4150억달러로 세계 9위 수준을 나타내고 있는 국내 외환보유액과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대규모 무역흑자는 달러 유동성 위기의 가능성을 제한한다. 그러나...
거대한 거미 조각 ‘마망’(Maman·엄마)으로 유명한 루이스 부르주아부터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 작가 이불의 대규모 회고전, 극사실주의 조각으로 세계적 스타가 된 호주 출신 조각가 론 뮤익의 아시아 첫 개인전까지. 2025년엔 세계적 거장의 작품 세계를 깊게 들여다볼 수 있는 전시가 찾아온다.루이즈 부르주아가 물들이는 가을올해 가을은 ‘루이스 부르주아(1911~2010)의 계절’이 될 것으로 보인다. 프리즈·키아프가 동시에 열리는 이 기간, 미술관과 갤러리들은 한 해 가장 공들인 전시를 이 시기 선보이는데, 국내 대표적 미술관과 갤러리가 모두 부르주아를 선택했다. 호암미술관과 국제갤러리 두 곳에서 부르주아의 개인전이 동시에 열린다.호암미술관은 8월 국내에서 25년 만에 열리는 부르주아의 대규모 개인전을 선보인다. 호암미술관 야외에 설치된 9m 높이의 ‘엄마’(Maman, 1999)와 3m 높이의 작은 ‘엄마’를 비롯해 ‘밀실 XI(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