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미니업체 지난 2일 서울지하철 2호선 신촌역 1·2번 출구 앞, 연세대 정문 삼거리에서 붉은색 글씨가 쓰인 현수막이 새해 들어 맞이한 변화를 알리고 있었다.“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 신촌로터리와 연세대 앞을 잇는 서울 서대문구 연세로는 새해 첫날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정이 해제됐다. 연세로 가로등에도 지구 해제를 알리는 현수막이 걸렸다.총길이 약 550m인 연세로는 2014년 1월 서울시에서 대중교통전용지구로 지정했다. 왕복 4차로였지만 폭이 좁아 교통체증이 잦았다. 인도 역시 좁았기 때문에, 차도를 왕복 2차로로 줄이는 대신 인도 폭을 넓히고 평일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정도만 다니도록 제한했다.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 이틀째에 찾은 연세로에선 이따금 시내버스 뒤를 쫓는 승용차나 1t 탑차 등이 눈에 띄었다. 심야 시간대에만 다닐 수 있던 택시도 종종 연세로를 통과했다. 다만 퇴근 시간대인 오후 6시 이후에도 교통체증을 느낄 만큼 많은 차량이 다니지는 않았다...
오는 7월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폐지를 앞두고 일부 판매점에서 최신 스마트폰의 보조금 지급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 다만 업계 전체로 확산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7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일부 온라인 스마트폰 판매점은 이달 들어 아이폰 16 일반 모델 128GB(기가바이트)짜리를 번호이동으로 구매하면 0원이라고 광고 중이다. 갤럭시 S24 256GB 모델의 경우 번호이동만이 아니라 기기 변경도 돈을 돌려받을 수 있을 정도로 보조금을 늘린 판매점까지 있다.단통법 폐지안이 국회 소위원회를 통과하기 전인 지난해 11월 중순만 해도 수십만원에 판매됐는데, 고객 주목도가 높은 플래그십 스마트폰 위주로 보조금을 늘린 것이다. 통신사들은 단통법 폐지 결정 후 지원금을 늘리진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일부 대형 유통업체들이 리베이트를 많이 지급한 것으로 보인다”며 “규제 가이드라인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을 틈타 고객 유치에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