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골드 “모든 길은 바스락거리는 불씨를 품고 있다// 휴대전화가 사람을 끌고/ 바쁘게 걷고 있다/ 모든 것이 있는데/ 하나가 없는/ 내가 사는 도시/ 입술로 말하면 사뭇 쑥스러운/ 그래도 굳이 말하자면/ 스물세 살 같은 땀방울/ 열세 살 같은 새로 솟는 깃털/ 세 살 같은 반짝이는 이빨이 안 보이는 거리 - ”<그 끝은 몰라도 돼>(문정희·아침달)시 ‘빈 거리’의 일부다. 시 속 사람들은 자신의 리듬으로 걷기보다는 휴대전화에 끌려가듯 움직인다. “스물세 살 같은 땀방울/ 열세 살 같은 새로 솟는 깃털/ 세 살 같은 반짝이는 이빨” 같은 생명력 넘치는 인간적인 요소들은 이제 첨단 기기가 점령한 도시에서 굳이 언급하기 “쑥스러운” 옛것으로 전락했다.시는 다음과 같은 구절로 마무리된다. “끝내 만날 일 없는 발자국들과 발자국들이/ 누더기 햇살 속을 어른거린다/ 휴대전화끼리 속이고 사랑한다/ 휴대전화끼리 축의금과 조의금을 주고받는다/ 병원으로 화장장으로 도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