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축구중계사이트 정부가 국민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겠다며 새해에 ‘영화관람권 구매 시 징수되는 부과금 3%’를 폐지했지만, 관람료는 그대로인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 설명대로면 영화관람료는 지난 1월 1일부터 기존 가격에서 450원 정도 인하돼야 하지만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은 “인하는 없다”고 밝혔다. 이들을 관리·감독해야 할 문화체육관광부는 “업계에 ‘촉구’를 해보겠다”고 밝혔다.정부는 부과금 폐지로 ‘영화발전기금’의 주요 재원이 사라지는 문제는 세금 투입으로 해결할 방침이다. 결국은 영화상영관 및 배급사의 수익만 늘어난 셈이다.허술한 정부, 이용하는 기업지난해 12월 10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는 ‘2025년 예산안’ 부수 법안으로 이종욱 국민의힘 의원이 대표발의한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영비법 개정안)이 통과됐다. 주요 내용은 “2025년 1월 1일부터 영화 관람객에게 징수했던 부과금 3%를 폐지해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영화상영관 ...
언제부턴가 ‘식물 국회’ ‘식물 정부’ ‘식물 대통령’이라는 말이 일상용어가 되었다. 인터넷 국어사전은 식물 국회를 ‘움직임이 없고 제 기능을 못하는 국회’라고 정의했다. 그렇다면 식물 대통령은 ‘움직임이 없고 제 기능을 못하는 대통령’이란 뜻이다. 안타깝게도 식물을 바라보는 우리 관점이 이 용례에서 고스란히 드러난다. 외국에는 이런 용어가 없는데, 급기야 외신에서 퍼 나르기 시작했다. 식물 국회든 식물 대통령이든 그 속에 숨은 뜻은 의당 부정적이니, 식물에 빚진 나로서는 못마땅한 용어다. 푸성귀 따위로 식물을 인식하면 곤란하다. 지구상의 만물을 살리는 중추 역할을 하는 것이 식물이다. 세계적 식물학자 스테파노 만쿠소처럼 8개의 헌법 조항까지 만들며 ‘식물의 권리장전’을 주장하지는 못할망정, 우리는 식물을 정치판에 끌어들여 무기력한 존재로 만들었다. 게다가 식물이란 단어를 앞에 붙여 전부 ‘제 기능을 못한다’라는 의미로 해석하기까지 한다. 하지만 제 기능을 못하는 식물은 어디...
비틀스의 폴 매카트니는 꿈속에서 들었던 노래를 악보로 옮겨 적어 ‘예스터데이’라는 명곡을 남겼다. 그룹 봄여름가을겨울의 ‘브라보 마이 라이프’도 비슷한 탄생 비화를 갖고 있다. 이 곡을 만든 김종진은 어느 날 샤워 중에 무심코 흥얼거렸던 노래가 인상적이어서 악보로 옮겨 적었다. 멜로디부터 가사까지 고칠 것도 없이 즉석에서 만들어진 노래였다.“브라보 브라보 마이 라이프, 나의 인생아/ 지금껏 달려온 너의 용기를 위해/ 브라보 브라보 마이 라이프, 나의 인생아/ 찬란한 우리의 미래를 위해/ 내일은 더 낫겠지/ 그런 작은 희망 하나로 사랑할 수 있다면/ 힘든 1년도 버틸 거야/ 일어나 앞으로 나가/ 네가 가는 곳이 길이다”2002년 발표한 7집 앨범의 타이틀곡인 이 노래는 IMF 외환위기 여파로 힘들었던 국민에게 용기와 위로를 줬다. 특히 타격이 심했던 중년들은 이 노래를 들으면서 다시 일어설 힘을 얻었다고 했다.봄여름가을겨울은 김종진(기타·보컬)과 전태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