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변호사 10가구 중 3~4가구는 자녀가 김치를 먹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전량 중국산인 수입김치 물량은 1년 새 9% 가량 증가했다.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2024(2023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 조사 분석보고서’를 보면, 소비자 가구 3122가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가정에서 김치를 전혀 먹지 않는 가족 구성원으로 자녀를 꼽은 응답이 35.3%에 달했다. 이어 본인 20.4%, 배우자 13.9%, 본인 또는 배우자의 부모 9.5%, 기타 동거인(형제·자매 등) 3.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김치를 먹지 않는 가족 구성원으로 자녀를 꼽은 응답은 2020년 32.3%, 2021년 37.2%, 2022년 40.9%로 매년 늘었으나 2023년엔 전년 대비 5.6%포인트 낮아졌다.가정에서 김치를 먹지 않는 가족이 있는 경우 그 이유로는 ‘매운 음식을 먹지 못해서’(29.5%)가 가장 많았다. 이어 ‘김치가 맛이 없어서’(18.1%), ‘집에서 식사하지 않...
천대엽 법원행정처장은 7일 윤석열 대통령 체포·수색영장에 ‘군사상·공무상 비밀장소 수색에 기관 허락이 필요하다’는 형사소송법 제110조와 111조 적용을 예외로 하는 내용이 담긴 데 대해 “최종적으로 이 부분이 대법원에서 어떤 판단이 나올지는 지켜봐야겠지만 여러 견해가 있고 그 당시 영장판사는 주류적인 견해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사실상 형소법 적용 예외를 담은 영장 발부가 무리하지 않았다는 취지로 해석된다.천 처장은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현안질의에서 박준태 국민의힘 의원이 “우리 사법 역사에 이런 영장이 있었나”라며 지난달 31일 이순형 서울서부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가 발부한 윤 대통령 체포·수색영장에 적시된 예외 적용 문구를 문제삼자 이 같이 말했다.천 처장은 “다수 학설도 ‘물적인 압수수색, 인적인 체포수색의 경우에는 달리 치부하는 것이 맞다’는 견해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윤 대통령 측은 체포·수색영장 집행을 불허해달라며 법원에 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