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카사이트 지난해 상반기 국내 항공사 중 ‘항공기 정비’를 이유로 제시간에 이·착륙하지 못한 항공편이 가장 많은 국적사는 제주항공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 종료 후 항공기 가동시간을 끌어올린 이후 정비 지연이 급격히 늘었다.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6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2024년 상반기 항공사 지연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지난해 상반기(1~6월) 운항한 전체 5만2883편 가운데 1.0%인 536편(국내선 344편·국제선 192편)에서 항공기 정비를 이유로 지연이 발생했다.이는 전체 국적기 평균 정비 지연율(0.64%)보다 높은 것으로, 운항횟수가 가장 많은 대한항공(8만3356편 중 정비지연 422편)보다도 높다. 대한항공의 지난해 상반기 정비 지연율은 0.50%다.제주항공은 2023년에도 전체 운항편수 9만7683편 중 0.96%인 943편(국내선 524편·국제선 419편)이 정비를 이유로 이·착륙이 지연됐다. 역시 전체 국적기 ...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6일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앞두고 같은 당 의원들이 관저 앞으로 향한 것과 관련해 “당연히 안 간다”고 밝혔다. 국회의원으로서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논쟁을 하는 것이 맞다는 취지다. 그는 윤 대통령을 향해서는 “국민 뒤에 숨고 있다”며 체포 불응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권영세 비대위’에서 조직부총장을 맡은 김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에 출연해 “(관저 앞에) 당연히 가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지금 정당은 휩쓸려서는 안 되고 법적인 절차를 따지고, 국회에서 민주당이랑 갑론을박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는 “의원들이 현장에 나가서 마이크를 잡고 굉장히 과격한 발언들이 쏟아진다”며 “특히 윤상현 의원 같은 경우에는 관저로 들어가기도 했다. 다선의원들, 당의 중진이라는 분들조차 저렇게밖에 본인의 정치적 입지를 확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안타깝고 짠하다”고 말했다. 앞서 윤 의원은 지난 2일 한남동 관저 앞 집회에 참석해 “윤 대통령은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