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혼전문변호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첫날 ‘1·6 의회 폭동’ 가담자들을 사면함에 따라 폭력 사태의 주범들이 곧바로 풀려났다. 징역 20년 안팎의 형량을 선고받은 중범죄자도 정권 교체 하루 만에 면죄부를 받아든 것이다. 미국 사회에 충격을 안긴 사태를 “사랑의 날”로 세탁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을 두고 극단주의를 용인하고 법치주의를 훼손하는 조치라는 우려가 나온다.21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미 연방 교도소국은 이날 2021년 1월6일 의사당 폭동에 가담해 수감된 200여명을 모두 석방했다고 밝혔다. 극우단체 ‘프라우드보이스’ 전 대표 엔리케 타리오와 ‘오스키퍼스’ 창립자 스튜어트 로즈도 석방 대상에 포함됐다. 타리오와 로즈는 당시 폭동을 사실상 지휘한 이들로 각각 징역 22년형, 18년형을 선고받았다. 1·6 사태 관련자 약 1500명에게 내려진 선고 형량 중 가장 무거운 수준이다.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1·6 사태 가담자 1500여명을 사...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21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사진)의 극우 지지 발언을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숄츠 총리는 이날 스위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에서 머스크의 ‘나치 경례’ 논란에 대한 질문을 받고 “유럽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다. 억만장자라도 원하는 말을 할 수 있다”면서도 “극우 입장을 지지한다면 우리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전날 머스크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취임 축하행사에서 연설하던 중 손을 가슴에 얹었다가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게 한 뒤 머리 위로 팔을 뻗으며 ‘나치식 경례’를 연상시키는 동작을 두 번 반복했다.나치식 경례는 독일을 포함한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불법이라 논란이 일었다. 일각에서는 그저 어색한 행동이었을 뿐이라는 해석도 나왔다.숄츠 총리의 다보스포럼 연설이 보도되자 머스크는 엑스(옛 트위터)에 숄츠 총리의 이름 올라프(Olaf)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