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성범죄전문변호사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의 충격으로 금융불안지수(FSI)가 급등하면서 2022년 레고랜드 사태 당시 수준까지 치솟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실물 경제와 금융 시장에 미친 악영향이 수치로도 드러난 것이다.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0일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12월 금융불안지수는 전월보다 1.1포인트 오른 19.2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레고랜드 사태로 채권 시장에 대혼란이 벌어진 2022년 9월(19.7)에 육박하는 수치다.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11월(76.9),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2020년 4월(25.1)보다 낮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인 2016년 12월(9.5)의 두 배 수준이었다.금융불안지수는 한은이 금융과 실물 부문에서 나타나는 금융불안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매달 작성하는 종합지수로, 금융시장·대외·실물·은행·비은행 등 5개 부문별 20개 세부 지표를 반영한다....
국내 기업 해외법인의 현지 상장 붐이 일고 있다. 현대자동차 인도법인은 기업공개(IPO)에 성공했고, LG전자와 CJ대한통운도 인도법인 상장을 검토 중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체코 자회사인 두산스코다파워의 현지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현지 자금 조달을 통한 현지화 강화 전략이라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중복 상장’에 따른 국내 모기업 주주가치 훼손이란 비판도 제기된다.현대차는 지난해 10월 인도법인인 ‘현대차 인도(HMIL)’의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 상장에 성공했다. 공모가는 희망 공모가 밴드의 최상단인 주당 1960루피(약 3만2000원)로 책정됐다. 전체 공모 금액은 약 4조5000억원에 달했다. 이는 현지 증시 사상 최대 규모의 기업공개로 기록됐다.현대차는 현지에서 조달한 자금을 활용해 인도 국민차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복안이다. 또한 중동, 아프리카,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 신흥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인도를 전략적 수출 허브로 육성한다는 방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