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리딩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이 국회가 선출한 헌법재판관 후보자 3명 중 2명만 임명한 것이 타당한지를 두고 22일 헌법재판소에서 공개 변론이 열렸다. 최 권한대행 측은 ‘여야 합의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등의 이유로 마은혁 후보자 임명만 보류했는데 ‘여야 합의가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인가’라는 재판관들의 질의에 명확하게 답하지 못했다.헌재에서 열린 최 대행 상대 권한쟁의심판 첫 공개변론에서는 팽팽한 논쟁이 펼쳐졌다. 최 대행은 나오지 않았다.청구인인 국회 측 양홍석 변호사는 “국회가 선출하거나 대법원장이 지명한 재판관에 대해 대통령에게 사후동의권이나 임명거부권을 부여하지 않은 것은 (법률상) 명확하다”며 “대통령이 임명하는 것은 요식적, 형식적 절차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양 변호사는 재판관 임명의 법적 요건에 최 대행이 언급한 ‘여야 합의’가 없다는 점도 들었다. 여야 합의 관행을 이유로 임명을 거부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다...
관찰자로서 등장하는 기자들우리의 일은 기록하는 일유튜브 시청 권한 윤 대통령레거시 미디어엔 고마운 일기자가 기자 나오는 한국 영화·드라마를 보는 심정은 의사가 메디컬 드라마, 변호사가 법정 드라마를 볼 때와 비슷하게 불만스러울지 모르겠다. 한국 영화·드라마 속 기자는 열정적으로 정의를 추구하거나, 권력과 밀착해 가짜 뉴스를 쓰거나, 과도한 욕심에 오보를 낸다. 한국 언론에 대한 신뢰가 낮기 때문인지 요즘엔 두 번째 혹은 세 번째 유형의 기자가 많이 등장하지만, 가끔은 무능한 검경을 대신해 부패한 권력자에 맞서는 기자도 나온다. 모두 너무 미화됐거나 너무 사악해 단지 극 안에서만 기능적으로 존재하는 인물로 보인다. 대다수 사람이 위대한 영웅이거나 사악한 악당이 아니듯, 기자 역시 주어진 조건에서 주어진 일을 하는 보통의 직업인이다.오히려 미국 영화에서 현실적인 기자 모습을 볼 때가 있다. 경영과 편집이 충돌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오해하다 이해하는 풍경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