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갤러리

갤러리

한국 M&A 리더스는
M&A 전문 커뮤니티 입니다.

아파트 288곳 전수조사 보고서
작성자  (210.♡.142.245)

민간 무량판 아파트 288곳 전수조사 보고서.


288곳중 철근 1개 이상 누락 8곳3곳은 콘크리트 강도 부적합 판정전단보강근‘간격 미흡-누락’ 확인돼도정부, 전문가 내세워 “그래도 안전”조사방식도 ‘정밀→신속’으로 바꾸고기둥 주철근 조사.


그 차가 못 들어올 구역들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 씨와 입주민들은 가슴이 철렁했다.


3주 뒤 국토부 2차 조사(주차장전단보강근조사)가 시작됐다.


마침 지자체에서 아파트 사용승인을 담당하는 책임자가 현장에 온 것을 본 이 씨는 다급하게 다가가 설명했다.


말은 “철근 몇 개 빠져도 안 무너져요”였다.


반면 앞서 2023년 4월 인천 검단 아파트 지하 주차장 붕괴 사건의 핵심 원인은전단보강근누락, 즉 철근 누락이었다.


일각에서는 건설 현장의 느슨한 안전 인식이 실제 사고로 이어진 사례라는 평가도 나온다.


누락 은폐 의혹에 대해 반박했다.


23일 국토부는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국토안전관리원이 재검증한 결과, 콘크리트 강도 및전단보강근배근 여부를 점검한 결과 무량판 구조 안전성에 문제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는 일부 언론에서 "조사 항목을 절반으로.


주철근은 건물을 지탱하는 여러 소재 중 콘크리트와 함께 가장 중요한 ‘뼈대’ 역할을 한다.


2023년 국토교통부가 조사한 ‘전단보강근’은 기둥과 천장, 바닥의 연결 부위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지만, 주철근은 건물 무게를 직접 지탱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의 '과천지식정보타운 S-10블록'이 선정됐다.


더샵 아르테는 지하주차장 무량판 슬래브의 드롭 패널을 확대하고전단보강근을 추가 배근해 바닥 슬래브의 안전성을 설계 단계에서 개선했다.


과천지식정보타운 S-10블록은 공공주택의 품질 혁신을.


붕괴 사고조사 결과 설계 단계부터 감리, 시공, 자재 품질 관리, 안전 관리 미흡 등 모든 단계에서 부실 문제가 지적됐다.


특히전단보강근이 설계 단계부터 빠지거나 시공 과정에서도 누락된 것으로 확인됐다.


5일 국토교통부는 인천검단 AA13-2BL 공공주택사업.


http://www.jbplaza.co.kr/


콘크리트 품질 저하가 원인이 됐다.


GS건설의 인천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일어난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는전단보강근(철근) 누락과 함께 콘크리트 품질의 저하에서 비롯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현대산업개발의 광주 화정아이파크 건설 현장에서 외벽.


검단 안단테자이 지하주차장 붕괴현장.


무량판 구조는 말 그대로 대들보(梁)가 없다(無)는 의미로, 보 없이 기둥이 직접 슬래브(평판 구조물)를 지지하는 것.


영업정지 등의 위반사실이 없는 업체 중 시공 과정에서 해당 아파트 안전점검에 참여하지 않은 업체 - 현장점검 시 비파괴 방식으로전단보강근배근상태 확인 및 콘크리트 압축강도 측정을 실시하여 무량판 구조의 철근 누락 여부 및 보수·보강 필요 여부 등을.

  • 추천 0
  •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총 게시물 55,700 개, 페이지 3086 RSS 글쓰기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