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전문변호사 지난달 한국 수출이 10% 넘게 감소하며 ‘플러스 행진’을 멈췄다. 덩달아 무역수지도 적자로 돌아섰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촉발한 글로벌 무역전쟁이 본격화하면서 올해 수출 전망은 더욱 어두워지는 형국이다.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월 수출은 491억2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3% 감소했다. 한국 수출은 2023년 10월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플러스로 전환된 뒤 15개월 연속 플러스 행진을 이어왔으나, 새해 첫달부터 제동이 걸렸다.전체적인 수출 감소세 속에서도 반도체는 101억달러로 9개월 연속 100억달러 이상을 달성하며 견조한 실적을 이어갔지만, 자동차는 50억달러로 지난해보다 19.6% 줄었다. 전체 수출 현황을 지역별로 보면 주요 시장인 미국(-9.4%)과 중국(-14.1%) 수출이 모두 감소했다.1월 수입은 510억달러로 지난해 대비 6.4% 감소했으며 무역수지는 18억9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로써 2023년 6월 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후보자(사진)가 한국과 일본을 지목해 “미국을 이용해왔다”면서 외국 기업들의 미국 현지 생산을 유도하고자 관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무역 정책을 총괄할 핵심 인사가 ‘관세 무기화’를 통한 미국 우선주의 통상 기조를 분명히 하면서 한국에도 파장이 예상된다. 또한 러트닉이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기 한국 기업들에 약속 또는 확정한 보조금 정책에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내면서 이미 대미 투자를 확대한 한국 기업들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러트닉은 29일(현지시간) 상원 상무·과학·교통위원회 인준청문회에서 “우리의 위대한 동맹들은 우리의 선량함에서 이득을 취해왔다. 일본의 철강, 한국의 가전 같은 경우 우리를 그저 이용했다”고 말했다. 러트닉은 이어 “이제는 그들이 우리와 협력해 미국으로 그 생산을 가져올 때”라며 “동맹들이 미국 내 제조업 생산을 늘리도록 긴밀하게 협력할 것”이라고 ...
지난해 사업용 태양광 신규 설치용량이 3.16GW(기가와트)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원 강화, 제도 개선 등 정책에 따라 공장 용지에 설치된 태양광 설비가 많이 늘어나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사업용 태양광 신규 설치 용량은 약 3.16GW(잠정)를 기록해 2021년 이후 다시 3GW대를 회복했다고 31일 밝혔다. 이에 따라 사업용 태양광 누적 보급 용량은 약 27.1GW로 추정된다.사업용 태양광이 회복세를 보인 건 보급 여건이 양호한 입지 개발, 투자 여건 개선 등 복합적인 요인 때문으로 분석된다.특히 지목별로 보면 지난해 공장 용지 내 태양광 설치가 많이 증가했다. 지난해 공장 용지에 설치된 태양광은 전년 대비 64% 증가한 약 809㎿(메가와트)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논은 596㎿, 밭은 419㎿ 보급된 것으로 집계됐다.산업부는 지난해 7월 발표한 ‘산단 태양광 활성화 방안’의 효과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