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민중계 지난해 11월 출생아 수가 1년 전보다 2500명 넘게 늘며 14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혼인 건수도 2015년 이후 가장 많이 늘었다. 12월에도 이같은 흐름이 이어질 경우, 연간 출생아 수는 9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할 전망이다.통계청이 22일 발표한 ‘11월 인구 동향’을 보면 지난해 11월 출생아 수는 2만95명으로 1년 전보다 2565명(17.5%) 증가했다. 이는 2010년 11월(17.5%)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출생아 수는 모든 시·도에서 1년 전보다 증가했다.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 이후 다섯 달 연속으로 전년 대비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11월까지 누적 출생아 수는 22만9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1만3723명)보다 3.0% 증가했다. 12월에도 이런 흐름이 유지된다면 지난해 연간 출생아 수와 연간 합계출산율도 9년 만에 증가세로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 2016년에 40만6243명이었던 연간 출생아 수는 2023년에는 23만28명까지 감소...
최근 3년간 건설업 취업자는 계속 줄어들었고 이들에 대한 임금 체납 규모는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26일 나타났다. 건설업계가 경기 악화 직격탄을 맞으면서 노동자들에 대한 안전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고용노동부가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 월평균 건설업 취업자는 2022년 212만3000명, 2023년 211만4000명, 지난해 206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경기 하강 등이 맞물려 일자리가 준 것으로 보인다.임금 체납 액수는 늘었다. 2022년 2924억8900만원 수준이었던 체납 금액은 2023년 4362억5600만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엔 1월부터 11월까지 4422억600만원의 임금이 지급되지 않았다. 체납 피해자는 2022년 7만3646명, 2023년 9만3527명, 2024년(1~11월) 8만3482명이었다.노동부는 최근 3년간 상습적으로 임금을 ...
꽉 막힌 명절 귀성길, 도로에서 움직이지 않는 앞차를 보며 “하늘을 나는 자동차는 대체 언제 개발되는 거야?”라고 생각해본 적 있으실 겁니다. 명절 연휴를 귀성길 스트레스로 시작하지 않으려면 수십 년을 기다려야 할까요?최근 추세를 보면 하늘을 나는 자동차 대신 인공지능(AI)이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율주행 차량에 탑재된 AI는 인간보다 상황을 인지하고 반응하는 속도가 빠릅니다. 신호등도, 사고도 없는 고속도로 정체는 인간의 반응속도 때문에 일어나므로, AI가 이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겁니다.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차량이 막힐 뚜렷한 이유가 없는데도 교통체증이 발생하는 상황을 ‘유령정체’라고 부릅니다. 유령정체의 원인은 반응 지연입니다. 앞차가 브레이크를 밟으면 뒤차는 이를 인지한 뒤 브레이크를 밟습니다. 이렇게 차례대로 브레이크를 밟다 보면 반응시간이 쌓여 맨 뒤의 차는 거의 멈춰 서게 됩니다. 인간의 생물학적 한계가 원인이라는 뜻입니다.자율주행 자동차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