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성범죄전문변호사 금융감독원은 일본은행 금리 인상과 관련한 시장 일각의 우려와 달리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금감원은 24일 이복현 원장 주재로 금융상황 점검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금감원은 “시장 일부에서는 지난해 일본은행의 금리인상 후 발생한 급격한 엔캐리 청산에 따른 시장충격 재발을 우려하는 의견도 있으나, 현재 금융상황에서 엔 캐리 청산 유인은 낮다”고 밝혔다.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은 이날 금융정책결정위원회에서 기준금리인 단기 정책금리를 현재 ‘0.25% 정도’에서 ‘0.5% 정도’로 인상하기로 했다.엔 캐리 트레이드는 싼 엔화를 빌려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고금리 통화나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것으로, 통상 일본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엔화 값이 올라 엔 캐리 자금이 일본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아진다.금감원은 “일본은행의 금리인상이 있었던 지난해 7월과 비교하면, 지난해에는 미·일 금리격차가 축소되고 엔화도 강세였던 반면, 현재는 금리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그대로인 대출금리로 서민들이 금리 인하 효과를 거의 보지 못한다는 비판이 커지자 은행들이 잇따라 대출금리를 낮추고 있다.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를 키워 은행들 배만 불린다는 지적이 거세지면서, 그간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대출규제를 강조했던 금융당국도 이젠 금리 인하를 주문하고 나섰다.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오는 31일 주요 가계대출 상품의 가산금리를 최대 0.29%포인트 하향 조정할 예정이다. 지난 13일 신한은행이 가산금리를 최대 0.3%포인트 낮춘 데 이어 우리은행도 대출금리 인하에 동참한 것이다.지난해 하반기부터 한은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면서 은행의 예금·대출 금리와 연동된 시장금리는 하락했지만,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관리를 주문하면서 그동안 은행들은 임의로 부과하는 가산금리를 높여 대출금리를 유지해왔다.그러나 우리은행 등 일부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가 5개월 연속 확대되는 등 가계대출 억제를 명목으...